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기발한염소153
기발한염소15324.02.28

곤충이 육지에서만 거의 서식하는 이유?

바다에 사는 곤충이 있나요?

소금쟁이 밖에 지금까지 본적이 없는 것 같은데

과학자들은 어떤 주장을 말하고 있나요?

경쟁할 동물이 너무 많기 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곤충은 식물을 먹는 초식 동물입니다. 육지에서는 풀과 같은 식물이 풍부하게 자랍니다. 따라서 육지는 곤충이 식량을 확보하기에 적합한 환경입니다. 많은 곤충이 육지에서는 특정 식물에 기생하여 애벌레로서 성장하는데, 이러한 특성은 물에서는 구현하기 어렵습니다. 물에서는 식물이 흐트러지거나 장소가 변동되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애벌레의 생존이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곤충이 육지에서만 거의 서식하는 이유는 곤충의 신체 구조와 생태학적 특성에 관련이 있습니다. 곤충은 다리와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이동하고 먹이를 찾아 먹습니다. 곤충의 신체 구조는 물 속에서 생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곤충은 육지에서 서식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곤충이 육지에만 사는 이유는 곤충의 껍질을 단단하게 만드는 독특한 화학 메커니즘의 진화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메커니즘은 곤충에게 육지에서는 유리하지만 바다에서는 불리 한데 육지를 정복했지만 바다는 정복하지 못한것이고 곤충은 지구상에서 가장 성공적인 유기체 중 하나 입니다. 모든 육상 동물의 바이오매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구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