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호화로운동고비112
호화로운동고비11222.12.18

과거의 리만브라더스 사태에 대해 알고싶어요

세계경제의 큰 타격을 준 리만브러더스는 어떠한 사건이길래 기업이 무너졌다고 어떻게 세계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었나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당시 2008년도에 발생하였던 리만브라더스 사태 다른말로는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의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드릴게요

    1. 미국의 저금리 통화정책

    2. 증시 및 주택시장의 활성화

    3. 주택시장의 활성화에 따라 저신용자에 대한 주택대출상품 등장(서브프라임대출)

    4. 주택담보채권(저당권)에 대한 증권화

    5. 미국의 금리인상 단행 (1%->5.25%까지 상승)

    6. 저신용자들의 이자상환이 불가능해지며, 주택대출(서브프라임대출)의 부실화 속출

    7. 집 값의 하락 가속화

    8. 집 값 하락에 따라 CDO(부채담보부증권) 손실 및 MBS의 원금 손실 발생

    9. 금융기관의 부실화 (베어스턴스에서 리먼브라더스로 더 큰 기관으로 부실화)

    10. 투자은행들(IB은행)의 붕괴

    2008년 리만브라더스 사태는 자본주의 탐욕이 낳은 부실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습니다. 당시 금융기관들은 주택담보대출 받은 것을 채권으로 만들어 현금화 시키고 또 그것을 증권화시켜 팔고 신용도가 낮은 서브프라임모기지대출은 '보증'을 통해서 신용보강을 해서 팔면서 끊임없이 이윤 추구를 위한 상품을 만들다보니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하위 계층들의 대출인 서브프라임모기지가 부실이 발생했고, 밑에서 부터 발생한 부실이 전체 모기지 시장의 붕괴로 이어지게 된 사건입니다.

    미국의 부실율이 올라가며 기준금리가 올라가다보니 그 여파가 한국에도 미쳐 한국은 당시 주담대 금리가 8%를 넘어섰고 2금융권의 경우는 12%를 넘어서 한국의 주택시장도 얼음이 되어버렸습니다. 비단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들도 마찬가지로 그 여파를 맞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8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투자은행이었던 리먼 브라더스는 2008년 파산한 사건입니다. 채권과 모기지(부동산 담보 대출) 파생상품에 투자를 집중하다 서브프라임 모기지(소득이 낮은 이들을 대상으로 한 주택 담보 대출) 부실 사태로 큰 손실을 봤고, 다시 일어서지 못했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고 경기가 점점 과열되는 것을 느낀 미국 정부는 금리를 엄청나게 올리는 정책을 단행합니다. 그러자 대다수의 사람들이 돈을 갚기 위하여 부동산을 팔기 시작했고, 부동산 급하락이 시작됩니다. 가격이 하락하자, 돈을 갚을 능력이 없이 돈을 빌렸던 사람들은 돈을 갚지 못한 채 파산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뿌린 돈을 회수하지 못한 은행과 금융회사들 역시 상황이 매우 안 좋아져, 파산을 신청하거나 자신의 자본들을 시장에 팔기 시작하면서 엄청난 수의 물량이 세계시장에 쏟아져 나와 단지 미국뿐만 아닌 전 세계적인 시장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 주식시장도 붕괴되어 주가의 급락을 불러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