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가을바라기
가을바라기24.02.16

한국과 북한의 바다에 세워진 NLL이란 선은 어떤 유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

한국과 북한의 바다에는 NLL이라는 경계선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

북한은 계속해서 이 NLL을 무력화 하려고 하는데

최초로 NLL은 어떻게 세워진 경계선인가요?

어떤 역사적인 배경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NLL은 북방한계선을 의미합니다. 무력 충돌 발생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합니다.

    1953년 정전 직후 클라크 주한 유엔군 사령관이 설정한 해상경계선이라고 합니다.

    953년 8월 30일 당시 주한 유엔군 사령관이던 마크 클라크가 한반도 해역에서의 남북 간의 우발적 무력충돌 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서해상에 당시 국제적으로 통용되던 영해 기준 3해리에 입각하여 서해 5개 도서(백령도·대청도·소청도·연평도·우도)와 북한 황해도 지역의 중간선을 기준으로 '북방한계선(NLL Northern Limit Line)'을 설정하였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권태형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북방한계선의 약자로 휴전조약이후 해당선이 약간의 국경 마지노선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엔사는 정전협정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서해 5도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우도) 북단과 북한 측에서 관할하는 옹진반도 간의 중간선을 설정해 NLL이라고 칭하고 해상분계선으로 삼았다고 합니다.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을 통해 한반도엔 육상분계선이 그어진 반면 해상분계선은 합의되지 않았다고 하는데 유엔사는 정전협정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서해 5도(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우도) 북단과 북한 측에서 관할하는 옹진반도 간의 중간선을 설정해 NLL이라고 칭하고 해상분계선으로 삼았는데 사실 당시엔 한국의 우월한 해군력을 고려해 북진을 막는 목적도 담겼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북방한계선(北方限界線, Northern limit line), 간단히 NLL은 1953년 8월 30일, 당시 유엔군 사령관이었던 미 육군 대장 마크 클라크 장군이 설정한 경계선으로, 대한민국과 북한의 서해 및 동해 접경 지점의 한계선이다. 이는 남한의 함정 및 항공기가 초계활동을 할 수 있는 북방한계를 규정한 것이다. 남북 양측 간에 일어날 수 있는 충돌을 방지한다는 정전협정의 실질적인 이행에 목적을 두고 있는 사실상의 해상경계선이자 군사분계선이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