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호화로운직박구리222
호화로운직박구리22221.01.20

비트코인 거래소의 수익모델이 궁금합니다.

빗썸이나 업비트 같은 비트코인 거래소가 상당히 많은데요. 거래소들의 수익모델이 궁금하여 질문남깁니다. 이런쪽이 너무 무관심하다가 최근에 관심이 생겨서 위 항이 궁금하여 질문을 남겨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암호화폐 거래소의 수익모델에 대해 질문하셨는데요,

    암호화폐 거래소의 주 수입원은 거래수수료입니다. 투자자의 매도와 매수, 출금으로 발생하는 수수료가 암호화폐 거래소의 주 수입원이며, 일부 거래소에 해당하여 암호화폐가 상장할 때에 상장피를 받거나, 해당 암호화폐를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도 거래소의 수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수수료 수입외에도 요즘에는 거래소 내에서 다양한 상품을 제공합니다. 디파이 서비스나 채굴 서비스를 채공하여 그에대한 수수료를 수입으로 하는 곳도 있습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거래소의 수익 모델은 크게 3가지 입니다.

    1. 거래 수수료 : 아시다시피 매도/매수시 거래내역에 비례 하여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수수료가 거래소의 수입니다.

    2. 이체 수수료 : 거래소에서 다른 곳으로 코인 혹은 토큰을 이체 할 때, 이체 수수료를 지불하게 됩니다. 이 이체 수수료는 실제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수수료보다 약간 높게 설정됩니다. 따라서 차익만큼이 거래소의 수수료 입니다.

    3. 상장비 : 어떤 거래소는 상장비를 받지 않는다고 하지만, 어떤 곳은 받기도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코인을 상장해 주는 댓가로 받는 상장비 또한 거래소에게 있어서 수입원 중의 하나 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비트코인 거래소의 수익모델이 궁금합니다. 라고 문의 하셨는데요.

    거래소의 경우 거래 수수료가 주 수입원입니다.

    예를 들어 업비트의 사례를 들면 아래 보이는것처럼 KRW마켓의 경우 0.05%의 수수료를 받습니다.

    업비트 소식에 보면 아래 소식 처럼 하루 거래량이 1조원을 돌파했다는 기사를 볼수 있습니다.

    https://upbit.com/service_center/press?id=1611

    거래량이 1조원일경우 하루 거래수수료만 5억원의 수수료가 발생을 하게 됩니다.

    이렇듯 가장 큰 수입원은 거래수수료라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빗썸이나 업비트 같은 암호화 화폐 거래소는 거래시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구매 또는 판매시 수수료가 상당히 많이 발생합니다.

    수수료가 수익 모델이라고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을 개인 지갑에서 다른 지갑으로 이동시 수수료가 100원이 발생한다면 거래소에서 이동시 수수료가 150원 정도 발생한다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비율은 다릅니다. 예시를 위해서 저렇게 적은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가상화폐 거래소의 수익모델은 당연히 거래하면서 받는 거래수수료입니다. 그것은 주식도 마찬가지입니다. 증권사들도 거래수수료로 수익을 챙기는 거죠. 증권사는 다른 수익모델도 있지만요 암호화폐 거래소는 대부분 거래수수료입니다.

    업비트나 빗썸 같은 경우 하루 거래되는 양이 어마어마 합니다. 왠만한 증권사보다 나을지도 모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지식답변자 다라닝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거래소들의 가장 큰 수익모델은 수수료입니다.

    사용자가 수익을 보든, 손실을 보든 거래소 입장에서는 무조건 수익을 보기 때문입니다.

    또 암호화폐를 상장시키기 위해 상장비용을 지불하기도 하며

    예치되어있는 물량으로 이자보상을 받기도 합니다.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적인 문의가 필요하시면 답변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