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심심한도마뱀164
심심한도마뱀16422.11.08

명왕성은 왜 태양계에 제외 됐나요?

예전에는 지구과학을 배울 때 명왕성은 태양계의 가장 마지막 별이라고 배웠던 기억이 나는데요. 어느 순간부터 명왕성을 태양계에서 제외를 한다는 소식을 접했었는데 그 구체적인 이유가 무엇이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세계천문학회에서 명왕성을 퇴출하였고, 이유는 바로 명왕성이 작고 왜소하기 때문입니다.

    즉, 명왕성이 위성 성립이 가능한 중력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태양계에서 퇴출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원래 태양계에 속했습니다. 하지만 태양계에 속하기 위해서는 여러 조건이 필요한데요. 크기와 질량이 커야하는데 명왕성이 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태양계에서 현재는 제외된 상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행성분류법에 의해 행성에서 제외되었습니다.

    행성분류법에 따르면 행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어야 하며, 충분히 크고 무거워서 그 모양을 유지하고 있어야 하고, 주변 천체를 위성으로 만들거나 밀어낼 수 있는 힘이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명왕성은 지구의 0.18배정도의 지름에 부피는 0.0066배, 중력은 지구의 약 7%정도로 작고 약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명왕성은 5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다른 천체를 밀어내는 힘도 없고 제대로 된 위성을 가지지도 못했습니다.

    가장 결정적으로 2005년 명왕성보다 큰 천체인 UB313(일명 에리스)을 발견하면서 명왕성의 행성 지위가 위태로워졌었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2006년 명왕성은 행성이 아닌 외소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8

    명왕성이 태양계 행성 지위를 박탈당한 이유는

    크기가 작고, 공전 궤도의 불규칙성 때문 입니다.


    새로이 밝혀진 크기는 달의 2/3 크기이며 질량 또한 달의 1/6 수준 이라고 합니다.


    태양계의 모든 행성들은 공전 궤도는 원 또는 원에 가까운 타원형상으로 궤도를 돌고 있는 반면,


    명왕성은 완전한 타원에 가깝게 궤도를 형성하여 돌고,


    공전궤도가 해왕성의 궤도 안쪽으로 들어 갈 때도 있다는 것이 밝혀 졌습니다.


    또한 2003년 태양계에서 명왕성보다 큰 '에리스' 라는 천체가 발견되었기에 명왕성을 태양계의 행성지위에 계속 놓아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시작 되었습니다.


    위와같은 이유로 2006년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행성 지위를 박탈하고 왜소행성으로 분류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의 행성 지위를 박탈하게 된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어요. 가장 먼저 크기가 달만 하다고 생각되었던 명왕성이 사실은 달 크기의 3분의 2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그리고 다른 행성들은 거의 원에 가까운 궤도로 태양 주위를 도는데, 명왕성의 공전 궤도는 아주 길쭉한 타원 모양이에요. 그래서 가끔 해왕성의 궤도 안쪽으로 들어가기도 한답니다. 게다가 공전 궤도면이 다른 행성들에 비해 많이 기울어져 있어요.

    명왕성의 위성이라고 알려진 카론과의 관계도 이상해요.

    다른 위성들은 행성을 중심으로 원에 가까운 모양으로 행성 주위를 도는데, 카론과 명왕성은 서로의 주위를 돌거든요. 그래서 한때는 카론을 위성이 아닌 또 다른 행성으로 보고, 카론과 명왕성을 '이중 행성'이라고 부르기도 했어요.

    하지만 카이퍼 벨트에서 명왕성보다도 큰 천체 2003 UB313(미국인들은 '제나'라는 이름까지 붙였어요)이 발견되면서 명왕성의 지위는 흔들리게 되었어요. 명왕성을 계속 행성이라고 부른다면 제나처럼 명왕성보다 큰 천체도 행성이라고 해야 할 테니까요.

    그래서 많은 천문학자들은 명왕성을 '왜소행성'으로 분류하기로 결정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이 퇴출된 이유는 다양합니다.


    1) 태양을 도는 공전궤도가 다른행성과는 다르게 뒤틀려있습니다.


    2) 위성이라 불리우던 카론을 지배하고있지 않습니다. 위성과 행성의 관계는 그 둘의 무게중심이 행성 내부에 있어야하지만 명왕성과 카론의 무게중심은 명왕성 바깥에 존재합니다.


    3) 행성이라기에는 모양이 구 형태가 아니고 약간 찌그러져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명왕성은 퇴출 이후 플루토이드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간략하게 퇴출 이유를 말씀드리자면

    1. 2005년 명왕성보다 큰 행성 에리스가 발견되며 명왕성은 다른 행성들과 갈리 타원으로 태양을 돌고 크게 기울어져 있어 퇴출하자는 주장이 힘을 얻었습니다.

    2. 또한 다른 13개의 얼음행성들이 태양을 일정궤도로 돌고 있는 것을 반견했고 명왕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지 않을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힘을 얻으며 퇴출이 확정되었습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이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한 계기는 에리스라는 소행성을 발견하고나서부터입니다. 발견 당시 에리스는 태양 주위를 멀리서 돌고있었고 명왕성과 크기가 유사하였습니다. 그래서 국제천문연맹은 에리스를 10번째 행성으로 넣어야 하는지 의논을 시작하였죠.

    그러면서 명왕성을 다시 잘 관측해보니 태양주위를 돌지만 공전궤도가 찌그러져 해왕성의 공전궤도를 침범할 때도 있었으며, 명왕성이 행성으로써의 크기와 질량을 갖지 못하여 행성보다 위성에 가깝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행성이 되기위해선 위성을 둘만한 중력이 필요하다고 정의한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명왕성이 행성 자격을 박탈당하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