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치 치아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여러 치과를 방문하여 진단은 받았는데 충치 갯수가 달라요ㅜㅜ 구체적인 충치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인터넷 보니까 과잉진료하는 치과도 많다고 하던데 꼭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병원마다 치료해야 할 충치가 다른이유는 치료 방법에 있습니다. - 정지된 충치의 경우 굳이 치료하지 않아도 기능을 하는데 큰 문제가 없지만 혹시모를 문제에 대비해서 예방차원에서 미리 치료를 하는 병원이 있고 주기적으로 검진을 하면서 지켜보는 병원이 있는 식으로 같은 충치라도 치료를 안하는경우도 있기 때문이에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용균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과마다 충치 치료 갯수가 차이가 나는건 충치치료를 해야하는 기준의 차이가 있어서 입니다. - 나이가 어릴수록(중학생 이하) 조그만한 충치(초기 우식)도 심한 충치로 갈 가능성이 높기때문에 - 시간이지나면 더 심해지는 경우가 많아서 좀더 공격적으로 치료를 시행합니다. - 하지만 나이가 많을수록 조그만한 충치가 더 심해질 가능성은 적어서 지켜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어느정도 진행된 충치의 경우 충치의 갯수는 모두 같지만 - 초기우식의 경우 치과의사마다 당장 치료해야할 충치 갯수가 달라질수 있습니다. - (경험상 초기 우식이 나중에 심한 우식으로 진행되는 걸 많이 경험한 원장님은 좀더 공격적으로 진료를 하시고 - 초기우식이 잘 진행이 안되는 걸 많이 경험한 원장님은 좀더 관찰하는걸 선호하게됩니다) - 불안하시면 몇군데 치과 가보셔서 상담받아보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충치라는 것은 치아의 에나멜질이나 상아질이 침범된 불가역적 질환을 말합니다. - 보통 에나멜질에 충치로 인하여 치아가 손상되는 것부터 충치라고 하나 일부 얕은 충치는 가역적으로 되돌아가는 경향도 있고 나이가 들면서 충치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과마다 충치를 판단하는 기준은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즉 충치는 있으나 사람에 따라 구강관리 능력이 다르며 구강관리가 잘 될것이라고 판단되면 꼭 치료를 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관찰을 해도 됩니다. - 다만 사람들이 충치를 관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치과 방문이 힘들기 때문에 보통은 치료하는게 맞으며 이러한 기준이 치과마다 다르기 때문에 충치의 갯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충치는 보통 4단계로 나누는데, 치과에 따라서, 1단계 충치는 치료하지 않고 지켜보는 경우도 있고, 1단계충치까지 다 치료계획에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 2단계충치부터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 치과의사마다 치료기준과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설명을 들어보고 합리적이라 생각이 드는 치과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충치는 치아 면에 부착된 세균이 만들어내는 산에 의해 치질이 파괴되는 질환입니다. - 학문적으로는 충치도 여러가지로 구분이 되지만, 임상적으로 간략하게 보면 세균의 작요엥 의해 치아 표면의 파괴가 일어난 경우를 충치로 봅니다. - 초반의 아주 작은 착색 정도의 경증도 초기충치로 구분되나, 임상적으로는 이를 충치로 판별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충치로 판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신경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심한 충치의 경우에는 치료에 관한 이견이 적을 것입니다. - 하지만 작은 충치에 대하여는 원장님들의 진료 철학에 따라 치료 방법과 시기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이에 대해 세세히 분석하는 것은 무리이므로, 간단한 정도만 언급해 보겠습니다. - 충치가 심하게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구강 위생의 개선과 철저한 관리를 통해 충치의 진행이 멈추는 정지우식으로 진행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충치가 더 깊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며 오랜기간 유지될 수 있습니다. 물론 이후에 다시 진행 될 수도 있습니다. - 하지만 항상 정지우식이 되는 것이 아니고, 방치될 경우 오히려 깊은 우식으로 진행되어 간단히 떼우는 이상의 인레이나 심할 경우 신경치료가 필요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 때문에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충치를 제거하여 이후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거하려는 원장님과, 당장 급하지 않은 치료는 좀 더 지켜보고 더 진행될 시 개입하려는 원장님이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같은 충치 갯수에서도 치료 시가와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또 한가지 예로 치아 인접면(치아끼리 맞닿은 부위)의 치료 역시 레진으로 떼우는 경우도 있지만 인레이를 통해 수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역시 원장님들마다의 치료 선호도와 술식에 따른 장단점을 두고 선택을 하는 것이므로,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결국 치료 방법이 명확한 충치(ex. 간단하게 떼우는 경우나 신경치료가 들어가야 하는 경우 등)가 아닌, 어느정도 치료 선택에 있어서 경계에 있는 충치들은 원장님들마다 치료시기와 치료방법에 대한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충치의 기준이 궁금하시군요. - 치아는 가장 안쪽에 신경 그위로 상아질 가장 바깥쪽에 법랑질이 둘러싸고 있습니다. - 충치가 법랑질에만 있을 수 있고 상아질까지 침범했을 수 있고 신경까지 침범했을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상황을 눈으로 보고 탐침을 해보고 엑스레이를 찍어서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하므로 정확한 충치의 기준 치료해야되는 기준은 경험적으로 진단하는 치과의사마다 다를 수 있고 구강청결이 유지가 안된다면 초기충치를 예방적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