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대담한멧토끼124
대담한멧토끼12424.03.07

산소부화연소해서 터빈을 작동시켰을 때의 차이점을 알려주세요

CH4 1몰을 연소시킨다고 가정했을 때

공기연소하면 발생되는 가스가 CO2 1몰, H2O 2몰, N2 7.52몰이 되고 (총 10.52몰)

50%를 산소로 공급하여 연소하게 되면

CO2 1몰, H2O 2몰, N2 3.76몰이 생성되는데 (총 6.76몰)

발생하는 가스의 에너지로 터빈을 돌리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때 가스의 에너지 외에 가스의 유량이 터빈을 작동하는 구동력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CH₄ 1몰을 공기 연소와 50% 산소 공급

    연소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에너지와

    유량을 비교 분석하여 터빈 작동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공기 연소:

    발생 가스:

    CO₂: 1몰

    H₂O: 2몰

    N₂: 7.52몰

    총 몰수: 10.52몰

    열량:

    CO₂: 393.5 kJ/mol

    H₂O: 241.8 kJ/mol (증발 잠열 포함)

    N₂: 비활성 가스, 열 발생 없음

    총 열량: 1,170.24 kJ

    50% 산소 공급 연소:

    발생 가스:

    CO₂: 1몰

    H₂O: 2몰

    N₂: 3.76몰

    총 몰수: 6.76몰

    열량:

    CO₂: 393.5 kJ/mol

    H₂O: 241.8 kJ/mol (증발 잠열 포함)

    N₂: 비활성 가스, 열 발생 없음

    총 열량: 835.12 kJ

    1.3. 에너지 비교:

    50% 산소 공급 연소는 공기 연소에

    비해 28.6% 적은 열량을 발생시킵니다.

    총 가스 유량: 10.52몰

    몰 유량 비율:

    CO₂: 9.5%

    H₂O: 19%

    N₂: 71.5%

    2.2. 50% 산소 공급 연소:

    총 가스 유량: 6.76몰

    몰 유량 비율:

    CO₂: 14.8%

    H₂O: 29.6%

    N₂: 55.6%

    2.3. 유량 비교:

    50% 산소 공급 연소는 공기 연소에 비해 35.7% 적은

    가스 유량을 발생시킵니다.

    50% 산소 공급 연소는 터빈에

    공급되는 열량이 감소하여 출력 감소를

    초래합니다.

    하지만, 낮은 열량은 터빈 부품의 열 손실 감소로

    이어져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50% 산소 공급 연소는 터빈을 통과하는

    가스 유량이 감소하여 터빈 작동 속도 감소를 초래합니다.

    하지만, 낮은 유량은 터빈의 마찰 감소로

    이어져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50% 산소 공급 연소는 터빈 출력 감소와

    효율 향상이라는 상충관계를 가져옵니다.

    최적의 연소 방식은 터빈 설계, 운영 목표,

    연료 비용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CH₄ 연소 시 발생하는 가스 에너지와 유량은

    터빈 작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CH4 1몰을 연소시킨다고 가정했을 때 공기연소하면 발생되는 가스는 CO2 1몰 H2O 2몰 N2 7.52몰이 됩니다. 이는 총 10.52몰의 가스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50%를 산소로 공급하여 연소하게 되면 CO2 1몰 H2O 2몰 N2 3.76몰이 생성되는데 이는 총 6.76몰의 가스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가스의 에너지로 터빈을 돌리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가스의 에너지 외에도 가스의 유량이 터빈을 작동하는 구동력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산소부화연소해서 터빈을 작동시켰을 때와의 차이점입니다.

    산소부화연소는 산소를 가스로 변환시켜 터빈을 작동시키는 방식이며 이는 가스의 에너지를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것입니다. 반면에 공기연소는 공기를 이용하여 가스를 연소시키는 방식이며 이는 가스의 에너지 외에도 공기의 유량을 이용하여 터빈을 작동시킵니다. 따라서 산소부화연소와 공기연소는 가스의 에너지 이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산소부화연소는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연소에 비해 더 높은 온도와 압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더 많은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산소부화연소를 이용하는 경우 더 효율적인 에너지 생산이 가능합니다.

    이와 같은 차이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연소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