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활발한메추라기알192
활발한메추라기알19223.03.22

가산금리라고 하는 것은 뭔가요?

경제 뉴스나 신문을 보면 가산금리라고 말을 많이 합니다. 금리를 가산한다는 말 같은데 그렇다면 경제용어 중에 가산금리라고 하는 것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산금리란 기존의 기준금리에 추가로 상승한 금리를 의미합니다. 보통 대출이나 신용카드 등의 금융 상품에서 대출 이자나 카드 이용료 등의 금리를 산정할 때, 대출금액이나 이용한 금액, 대출 기간 등 여러 요소에 따라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추가하여 최종적으로 적용되는 금리를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가 3%인데 대출금액이나 대출자의 신용도에 따라 1%의 가산금리를 부과한다면, 최종적으로 적용되는 대출 이자율은 4%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리도록 할게요

    가산금리라는 것은 은행에서 고객에 대한 대출금리를 산정할 때 '기본금리' 이외 추가적으로 신용도나 담보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여지는 금리를 말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은행대출 지원시에 추가되는 가산금리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업무 원가율

    • 자본비용

    • 신용위험 비용

    • 기간 스프레드 비용

    • 목표 이익률

    • 감면 금리

    • 교육세 (금리에 따라서 차등 적용)

    • 신보출연료 (기업대출의 경우에만 부리)

    은행의 대출금리는 위와 같은 가산금리들을 적용해서 [기준금리 + 가산금리] 의 대출금리를 고객의 신용등급별, 담보별로 대출을 지원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산금리는 대출금리나 예금금리 등 기존 기준금리에 추가적인 이자율을 부과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출금리에서는 대출 상환 능력이 부족하거나 대출 위험이 높은 경우, 예금금리에서는 예금 기간이나 예금액 등에 따라 가산금리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가산금리는 금융 기관에서 대출을 제공하거나 예금을 받을 때, 대출자나 예금자의 신용도, 상환 능력, 예금액 등을 고려하여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대출자의 신용도나 상환 능력이 낮거나 대출액이 큰 경우에는 높은 수준의 가산금리를 부과하여 대출 위험을 보상하게 됩니다. 반대로, 예금자가 예금액이 큰 경우나 예금 기간이 긴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가산금리를 부과하여 예금자에게 더 높은 수익을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가산금리는 금융 기관이 수익을 추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금융 기관은 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이인 이자 차익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따라서, 가산금리는 금융 기관의 수익성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나리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가산금리란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리는 금리를 말하는 것으로 스프레드(spread)라고 합니다.

    대출상품 등의 금리를 정할 때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위험가중 금리를 말하는데, 신용도가 높아 위험이 적으면 가산금리가 낮아지게 되고 반대로 신용도가 낮아 위험이 많으면 가산금리를 높아지게 됩니다.

    가산금리의 단위로는 bp(basis point)를 사용하는데 1%는 100bp가 됩니다. 채권에 붙은 가산금리가 2.25%라면, 가산금리로 변환하게 된다면 225bp가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대출시 차주별로 신용점수에 따라 기준금리에 추가적으로 붙이는 금리를 말합니다.

    • 신용점수가 좋을수록 가산금리는 적고 낮을수록 가산금리는 올라갑니다.

    • 기준금리에 더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모든 대출자들의 금리도 같이 상승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가산금리는 대출을 받을 때, 대출 상환 능력과 신용도 등을 고려하여 대출 금리를 결정할 때, 기본 금리에 더해지는 금리를 말합니다.

    즉, 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기본 금리와 함께 대출 신청자의 신용도나 상환 능력 등에 따라 추가적인 금리가 부과됩니다. 이러한 가산금리는 대출상품이나 금융회사에 따라 다르며, 대출신청자의 신용도나 대출 상환 능력 등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산금리는 대출 금리에 더해진다는 점에서 상환 금액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대출 신청 시에는 반드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대출 신청 전에는 자신의 상환 능력과 신용도를 충분히 검토하고, 금리 조건을 비교 분석하여 최선의 대출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산금리는 대출금리, 예금금리 등 금리가 적용될 때,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기본금리에 일정한 금리를 추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 기본금리에 여러 요인에 따라 가산금리를 더하여 총 대출금리를 책정합니다. 대출금리를 책정할 때, 대출금액, 대출금기, 대출금 상환 능력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적정 대출금리를 책정하게 되는데, 이때 적정 대출금리에 기본금리를 넘어서는 금리를 가산금리로 추가하게 됩니다.

    가산금리는 대출뿐만 아니라 예금금리, 적금금리 등에서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예금이나 적금의 금리를 책정할 때, 예금액, 예금기간, 이자지급방식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적정 예금금리 또는 적금금리를 책정하게 되는데, 이때 적정 예금금리 또는 적금금리에 기본금리를 넘어서는 금리를 가산금리로 추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가산금리는 기본금리에 추가되는 일정 금리를 의미하는데, 이는 대출금리나 예금금리 등에서 적용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