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깨끗한고슴도치259
깨끗한고슴도치25924.04.09

비염이 옮을 수 있는건지와 38도 이상 발열이 날 수 있나요?

나이
37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씬지로이드
기저질환
없음 (갑상선 기능저하)

10개월 아이를 키우고 있는 엄마입니다.

아기가 현재 3주째 항생제를 먹어도 콧물과 중이염이 낫지 않는 상태입니다.

그 와중에 제가 감기기운이 생겨서 소아과에서 진료를 받았고

이후 콧물이 너무 심하고 발열이 계속 있어서 이빈후과를 갔는데 비염이 심한 상태여서 비염 처방을 받았습니다.

여기서 질문이 2가지가 있어요!!

1. 비염인데 38도 이상 발열이 있을 수 있나요?

어제 이빈후과에서는 코검사만 하시고 목이나 다른검사는 안하셨어요.

약에 해열제는 없어서 타이레놀 복용하면 열은 떨어집니다.

2. 비염이 아이한테 옮을 수가 있나요?

제가 평생 비염 모르고 살았는데 아이가 아프고 갑자기 걸려서요 ㅠ

이게 알레르기성 비염이면 괜찮은데 세균성도 있다면

제가 마스크를 계속 끼고 있어야할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비염 자체가 직접적으로 발열을 일으키는 질환은 아니지만, 비염이 있는 상태에서 다른 감염성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 특히 상기도 감염이나 중이염 등이 있을 때 38도 이상의 발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비염은 코의 점막이 염증을 일으키는 상태로, 주로 알레르기성 비염과 비알레르기성 비염으로 나뉩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특정 알레르겐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하며, 비알레르기성 비염은 바이러스 감염, 온도 변화, 스트레스 등 다양한 비알레르기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염성 요인에 의한 비염의 경우,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열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비염 자체가 옮는 질환이라기보다는 비염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인 바이러스 감염은 전염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감기 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 감염은 타인에게 전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른 사람도 비슷한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알레르기성 비염은 환경적 요인이나 개인의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 발생하므로 전염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세균성 감염이 의심되거나 확실하지 않은 경우에는 예방 차원에서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 개인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가 3주째 항생제를 복용하며 콧물과 중이염이 낫지 않는 상태라면, 아이의 증상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므로 의료 전문가와 상세한 상담을 통해 추가적인 진단 및 치료 방안에 대해 논의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