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6.17

녹번역 지명의 유래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서울에 수많은 지명들은 조선 시대 역사적 배경을 두고 지명이 지어진 경우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녹번의 지명은 상당히 특이한데요 녹번의 지명의 역사적 유래를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17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녹반역은

    동쪽은 서대문구 홍은동, 서쪽은 역촌동·대조동, 남쪽은 응암동, 북쪽은 불광동과 접해 있습니다.
    동명은 녹반(綠礬)이 많이 나는 고개라는 뜻의 녹번고개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녹반은 철의 황산염 광물의 하나라고 합니다.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연은방 지역이었습니다.
    1914년 경기도 고양군 녹번리에 속하였고,

    1949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편입되어 녹번리로 불렸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녹번은 녹번이고개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기서 약용으로 쓰이는 자연동인 산골이 많이 나오므로 녹반현이라 불리다가 변음되어 녹번이고개로, 지하철을 개통하면서 역 이름으로 붙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름은 녹번현에서 연유되었으며 이는 무악재고개에 자연동(속칭 산골)이 나는데 이를
    녹반이라 한데서 동명이 유래되었다. 이 지역은 1949년 8월 3일에 공포한 대통령령 제159호에 따라 동년 8월 14일 해방 후, 그리고 정부가 수립된 후 처음으로 지방자치법 시행과 함께 서울에 편입된 지역 중의
    하나이다.
    1녹번은 이때 편입된 소위 신편입 4개지구(숭인, 뚝도, 은평, 구로지구)중 은평지구에 속해 있었고, 당시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녹번리로서 은평면사무소 소재지이기도 하였다.
    11949년 8월 14일부터 서대문구 관내(은평출장소)의 녹번리로 된 이곳은 그뒤 1950년 3월 15일 시조례
    제10호(서울특별시 동별 명칭 중 개정의 건)에 의하여 리를 고쳐 녹번동으로 되었다. 인접지역은 동쪽에는 서대문구 홍은동이 길게 자리잡고 있으며 남으로는 응암동이 접하고 서쪽으로는 역촌동과 대조동으로
    경계를 삼고 있다. 그리고 북쪽에는 불광동과 대조동이 접하여 왔다. 1955년 4월 18일 시조례 제66호에 의한 지방자치법에 의해 동제가 실시될 때에는 이웃 응암동, 역촌동, 신사동과 함께 4개 법정동이 합하여
    행정관할동을 녹신동으로 하였으나 시민의 지역 혼동으로 불편이 많아 1973년부터 동사무소의 명칭을
    지명과 일치하여 녹번, 응암 제 1·2, 역촌동사무소로 분동되어 녹번동사무소로 독립되었던 것이다.
    통일로를 중심으로 동쪽은 고지대 암반층, 서쪽은 비교적 평탄한 지형으로 중서민계층이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은평구 관문으로 5개 주요간선도로와 지하철 녹번역 및 관공서 밀집지역으로 교통과 행정의
    중심지로 유동인구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재 녹번동의 위치는 홍제동 고개를 바로 넘어서 위치 하는데 녹번이라는 지명은 조선시대 초기에 뜻 있는 조정의 관리들이 설, 추석 등의 명절에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나라에서 받은 녹(나라에서 받은 급여)의 일부를 이 홍제동 고개에다 남몰래 슬며시 놓아둔데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당시 이를 본 사람들은 고관들이 녹을 버린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 고개 이름을 ‘녹을 버린 고개’라하여 ‘녹번이고개’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