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배변, 변의감은 무슨 질병을 의심해야하나요
상복부복통, 미식거림, 등통증, 체중감소, 가늘고 얇은 변, 풀어지는변, 뜨는변 을보는데
요즘은 잦은 변의감(똥마려움) 이 추가됫어요 그럴때마다 실제 배변을 하긴하는데 양은 아주 적게나와요
현재 코쪽 비강염때매 항생제 등 먹고잇고 유산균 장운동 원할히 하는약 먹고잇는데 먹는 약때매도 그럴수잇나요
대장내시경은 4월에 이상없엇고 복부ct도 양성질환 소견만 나왓습니다
혹시 소장검사를 해봐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4월 대장내시경과 복부 CT 검사에서 이상이 없었다면 기능성 소화장애로 인한 증상의 가능성이 생각됩니다.
현재 복용 중인 항생제나 장 운동 촉진제가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약 조절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그 외 과도한 스트레스, 음주, 흡연, 자극적이거나 기름진 식사를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증상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소장 세균 과증식(SIBO), 혹은 만성 췌장염 등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특히 체중 감소와 변 모양의 변화는 소화 흡수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항생제 복용으로 인해 장내 미생물 균형이 깨지면서 증상이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대장내시경과 복부 CT에서 이상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소장은 대장내시경으로 검사할 수 없기 때문에 소장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항생제 유발성으로도 설사나 장염이 유발될수 있습니다.
항생제 복용 후 설사를 하게 되는 이유는 우리 장에 있는 유익균들이 외부 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항생제나 다른 약물로 인해 정상 균들이 죽으면 장 내 균형이 깨지면서 장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항생제를 복용한 일부 환자들에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장에 유해균이 증식하면 독소를 배출하게 되고, 이 독소는 장 점막을 손상시키고 염증을 유발하며 비정상적인 노란막을 형성합니다. 주로 클로스트리듐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 균 때문에 설사가 발생합니다. 설사는 항생제 사용 후 1~2일 이내에 또는 항생제 복용을 마친 후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복부 경련이나 통증과 함께 물이나 피가 섞인 설사가 시작되고, 변에서 심한 냄새가 납니다. 열이나 구토, 복부 팽만감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65세 이상 면역력이 약한 환자나, 항생제를 복용 중인 사람,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 장 수술을 받은 사람, 염증성 장질환이나 직장 질환이 있는 사람, 항암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들에게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진단은 대변에서 균이나 독소를 검출하여 이루어지며, S상 결장경 검사나 대장 내시경을 통해서도 진단이 가능합니다. 혈액 검사에서는 백혈구와 염증 수치(ESR, CRP)가 높게 나타납니다. 치료를 위해서는 증상을 유발한 항생제 복용을 중단하고, 메트로니다졸이라는 항생제를 12주간 복용합니다. 치료가 효과가 없을 경우 반코마이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태가 심할 경우 건강한 사람의 대변을 이식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위장관 튜브나 캡슐 형태로, 또는 내시경을 통해 정상 박테리아를 장에 넣어 장내 균형을 회복시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