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이 노예 무역에 뛰어 들게 된 근본적인 배경은 무엇인가요?
인류 역사상 악질적인 행태 중 하나가 바로 노예제도이잖아요. 그중에서 영국은 대영제국 시절 전세계 노예무역의 40%이상을 차지 할 정도로 노예무역을 사업화 했는데요. 영국이 공격적으로 노예 무역에 뛰어 들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6세기 이후 영국은 중상주의 경제 정책을 추구했습니다. 중상주의는 국가의 부를 증진하기 위해 무역을 장려하는 경제 정책입니다.
노예 무역은 아프리카에서 노예를 구입하여 아메리카 대륙의 식민지에 팔아 이윤을 얻는 삼각 무역의 일부였습니다.
삼각 무역은 영국에게 막대한 부를 가져다주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세기 영국에서는 설탕 산업이 발달하면서 설탕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영국은 식민지인 카리브해 지역의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할 노동력이 필요했고, 이를 노예 수입으로 해결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 남자가 김이 펄펄나는 솥에 사람을 넣고 휘졌고 있습니다. 솥에 있는 사람은 흑인 노예입니다. 지나간 역사를 이야기할 때 과거 흑인에 대한 잔인함을 이야기할 때 미국을 떠오르게 하지만 노예무역의 최고 주범은 영국입니다. 사실 네덜란드와 스페인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영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18세기에는 세계적으로 활기찬 노예무역을 주도했기 때문입니다. 사탕수수에서 나오는 설탕과 럼주를 수출하기 위해 많은 설탕을 감당할 수 있었던 이유는 영국이 아프리카 흑인들을 강제로 식민지 자메이카로 데려가 사탕수수를 재배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국은 17세기 중반에 설립된 왕립아프리카회사 (Royal African Company of England)등을 중심으로 ㅗ예 무역을 하는데 이것은 당시 대표적인 흑인 노예 수송 회사 중 하나였습니다. 이 회사는 카리브해 영국령 식민지에서 필요로 하는 노동력을 충원하기 위해 영국 국왕 찰스 2세로부터 흑인 노예 무역에 대한 독점권을 받았다고 합니다. 약 21만명의 노예가 이 회사의 수송선을 타고 영국 식민지 내 사탕수수·담배 농장등으로 팔려 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