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사에 적극적이지 않은 남자아이는 어떻게 교육해야하나요?
학교 수업도 학원 수업도 공개수업을 가보면 매사에 적극적이지 않고 건성건성 선생님이 시키는것도 하지않고 건성건성 대충대충 합니다. 모든 곳에서 다 같은데요. 이런아이는 어떻게 적극적으로 만들수있을까요? 기질일까요? 이런 태도가 고착화되어버릴까봐 너무 무섭습니닺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가 의욕이 없을 때는 아이에게 관심을 가져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아이와 보내는 시간을 늘려주세요.
-아이의 이야기를 귀담아듣고 충분히 호응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와 같이 할 수 있는 활동을 하세요.
-아이에게 무작정 강요하거나 밀어붙이지 마세요.
-아이와 함께 꾸준히 운동을 하세요.
-아이와 스킨십을 자주 해주세요.
이런 양육을 통해서 아이에게 도움을 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경우 아이가 흥미를 느끼는 주제나 활동을 찾아서 그와 관련된 학습을 유도해 보세요. 그리고 작은 성과라도 칭찬하고 격려하여 자신감을 키워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담임 선생님과 상담하여 아이의 문제점을 공유하고 맞춤형 지원 방안을 함께 의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적극적이지 않고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건 아이의 기질 입니다.
아이가 내성적이고 부끄럼이 많고, 낯가림이 심하다면 소극적인 성향이 강합니다.
아이의 기질을 억지로 바꾸려고 한다면 아이는 스트레스만 더 받습니다.
아이가 건성건성 대충 수업에 참여를 한다면 집중력 부족의 원인도 있습니다.
우선은 아이와 역할극을 하면서 상황에 맞는 행동과 언어 그리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주시고, 아이의 집중력은 정적인 활동을 통해서 집중력을 강화시켜 주세요.
정적인 활동에는 책읽기, 퍼즐맞추기, 종이접기, 블럭놀이, 그림그리기, 바둑 등이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의 경우에는 적극적인 자세가 중요합니다. 인생을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집에서 부모님께서 뭐든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우리아이도 조금씩 바뀔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매사에 적극적이지 않은 남자아이를 교육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관심과 칭찬을 통해 아이의 작은 성취에도 즉시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어 동기부여를 합니다. 아이가 무엇이든 시도했을 때 칭찬하고 격려하는 것은 중요한 첫 걸음입니다.
둘째로, 아이가 좋아하고 흥미를 느끼는 활동을 찾아보세요. 아이가 관심을 갖는 분야에서는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스포츠, 예술, 과학 등 다양한 활동을 시도하게 해보며 아이의 흥미를 발견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 번째로, 작은 목표를 설정해 성취감을 느끼도록 돕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처음에는 작은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했을 때 칭찬과 보상을 주어 성취감을 느끼게 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아이는 점차 더 큰 목표에도 도전하게 될 것입니다.
네 번째로, 아이와의 대화를 통해 왜 적극적이지 않은지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지지하며,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자신을 이해받고 있다고 느끼면 더 자신감 있게 행동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놀이와 체험 학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적극적인 태도를 기르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우고, 체험 활동을 통해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아이의 적극성을 키울 수 있으며, 비록 아이의 기질적인 부분이 있을 수 있지만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자신감이 부족해서, 성공의 경험이 부족해서 그렇습니다. 이로인해서 학습이나 맡은임무에 대해 관심을 갖지 않는것입니다. 학습(맡은일)에 대해 책임감과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성공의 기회를 많이 주어져야 하는데요.
일단 그렇게 위에서 목표를 작게 접고 성공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서 여러 번 성공하도록 하는 겁니다. 이러한 작은 성공경험들이 뭉치고 뭉쳐서 아이의 자신감과 학습과 맡은 일에 대한 책임감, 하고자 하는 동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