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4.03.18

시조새는 이빨이 있는데도 새의 조상이라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시조새의 화석이나 복원된 그림을 보면 시조새의 부리에 이빨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현재의 새는 이빨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시조새가 이빨이 있는데도 새의 조상이라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시조새는 고대의 화석 새로, 이빨을 갖고 있어서는 새의 특징과는 다릅니다. 이빨을 가진 화석은 고대의 어류나 파충류에게 흔히 나타나는 특징이지만, 현대 새들이 이빨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이것이 시조새가 새의 진화 과정에서 고대의 형태를 보존한 것으로 여겨지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또한, 시조새는 새의 진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으로 여겨지며, 현재 존재하는 다양한 새들의 공통 조상으로 여겨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시조새는 새의 조상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화론적인 측면에서는 현재의 다양한 새들이 공통 조상을 가지고 진화해 왔다는 이론을 지지하며, 시조새는 이 진화 과정에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존재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시조새가 새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이유는 이러한 과학적 연구와 증거들을 토대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시조새는 새와 근연 관계가 있는 공룡의 한 속으로, 새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중요한 화석입니다. 그 이름은 라틴어 학명인 “Archaeopteryx”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학명은 그리스어 에서 온 것입니다.

    시조새는 약 1억 5천만년 전에 독일에서 살았던 것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그 당시의 유럽은 지금보다 적도에 가까운 지역의 열대의 얕은 바다의 섬이었습니다. 시조새는 크기가 큰 까마귀 정도로, 모양은 까치와 유사했습니다. 작은 몹집에 비해 큰 날개로 날거나 활강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깃털: 검은색으로 추정되며, 비행력은 약했습니다.

    머리: 작고 눈은 컸습니다.

    날개: 앞 끝에는 세 개의 발가락이 있고, 그 앞에는 예리한 발톱이 달려 있었습니다.

    꼬리: 파충류의 것과 유사하며, 스무 개의 미추골로 되어 있었습니다.

    시조새는 새와 파충류의 특징을 모두 지니고 있으면서, 새의 깃털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시조새는 고생물학자들에게 가장 오래된 새로 취급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진화의 중간 단계로 보다 정확히 해석되고 있으며, 새의 기원을 설명하는 중요한 증거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새의 진화 과정에서 이빨이 없어지고 부리가 발달한 이유는 주로 새의 삶 방식과 식이에 적응하기 위해서입니다. 시조새는 부리와 함께 이빨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후 진화과정에서 부리가 더욱 특화되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새의 부리는 먹이를 잡거나 먹이를 뜯어 먹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진화되었기 때문에 이빨이 없어지고 부리가 발달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시조새가 이빨을 가지고 있었다고 해도, 현재의 새들은 부리를 통해 더 효율적으로 먹이를 획득하고 생존할 수 있도록 진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1861년 독일 바바리아 지방에서 희한한 화석 하나가 발견됐는데 공룡들이 주로 발견되는 주라기 지층에서 깃털과 새의 특징을 가진 뼈가 나온 것입니다. 고생물학자들은 이를 복원, 시조새(Archaeopteryx)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새로운 화성이 발굴됨에 따라 조류의 조상이 시조새로 부터 진화해온것이 아니라는 주장이 재기되고 있습니다. 이화석은 시조새와 비슷한 시기엔 1억5000만연전에 살았을것으로 추정되는데 무릎아래가 가늘고 긴 다리를 갖고 있어 달릴수는 있지만 비행능력이 없는것으로 보였는데 시조새가 살아있었던 시기에 조류형 공룡들이 다른 종류로 다양하게 진화하기 시작했다는 증거가 추가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시조새가 이빨을 가지고 있지만 현대 새들은 이빨이 없는 이유는 진화 과정에서 이빨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아 없어진 것으로 추측됩니다. 시조새는 곤충이나 작은 동물을 잡아 먹기 위해 이빨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현대 새들은 부리를 이용하여 먹이를 잡고 삼키는 방식으로 진화했습니다. 또한, 이빨은 체중을 증가시키고 에너지 소비를 높이는 요인이 되므로, 날아다니는 데 불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먹이를 잡는 방식의 변화와 에너지 효율성을 위해 시조새의 후손들은 이빨을 잃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이빨의 유무가 조류의 조상 여부를 판단하는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며, 시조새는 깃털, 날개, 뼈 구조 등 현대 새와 공통적인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새의 조상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