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찬란한원숭이62
찬란한원숭이6223.07.17

먹구름에서 비가 내려야하는데 맑은하늘에서 비가 내리는원리가뭔가요?

비는 먹구름에서 비가 내리잖아요? 그런데 맑은하늘 하얀구름인데도 비가 내릴때가있더라구요. 맑은하늘에 비가오는 원리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예전에는 맑은 하늘에 비가 오면...호랑이 장가 간다고 어르신들이 말씀하셨죠..ㅎㅎ

    그만큼..희귀하고 자주 일어나지 않는 현상이라는 말씀인데..최근에는 그렇지도 않은 듯 합니다. ㅎ

    베트남이나 태국 등 동남아 영행을 다니다보면 예보에도 없던 소나기성 강우가 갑자기 몇 분간 쏟아지는 경우가 있는데요..스콜이라고..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최근 자주 일어나고 있는 듯 합니다.

    비라는것이..구름이 형성되고 구름 안에서 수증기가 응결되어 형성되어 내리죠..

    일반적으로 비는 구름이 두꺼워지고 흐림이 늘어나는 비가 올 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맑은 하늘에서도 일부 상황에서는 비가 올 수 있습니다. 소나기가 대표적인데..

    이는, 지역적인 기상 조건에 따라 다르며, 특히 온난한 기온, 고기압 및 대기 중의 수증기 양이 증가할 때 발생할 수 있답니다.

    오늘도..10분전까지 하늘에 해가 떳었는데..갑자기 빗방울이 떨어지네요..ㅎㅎ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맑은 하늘에서 비가 내리는 경우는 구름이 낮게 형성되어 있고,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을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조건이 맞으면 구름 속의 물방울이 빠르게 커지게 되고 비가 되어 떨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 등 수분 함유량이 많아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비가 내리는 것 외에도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로 응결이 발생하여 비가 내릴 수 있는 경우도 존재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맑은 하늘에서는 태양의 복사 에너지가 지상을 가열하여 기온이 상승합니다. 이 열은 지면에서 상승하면서 대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대기는 높은 고도로 상승하여 냉각됩니다. 이러한 상승 기류는 일반적으로 습도가 낮아서 구름을 형성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그러나 때로는 상승 기류가 강해지고,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가 급속하게 냉각됩니다. 이로 인해 수증기가 응결하여 작은 구름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 작은 구름은 빠르게 성장하고, 비를 포함한 강수 현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강제 상승"이라고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자전으로 비가 대각선으로 내리거나 강한바람 으로

    바로 위에는구름이 없지만 측면에 구름이 있는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적운은 하늘을 덮는 먹구름이 없는 상태로서, 맑은 하늘이지만 미세한 구름이 살짝 떠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러한 미세한 구름은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적운은 일반적으로 대기가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일부 구름이 형성되지만 충분히 크지 않아 먹구름으로 발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미세한 구름에서도 충분한 습기와 냉각 조건이 갖춰져 있으면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맑은 하늘에 비가 내리는 다른 현상으로는 "가뭄비"나 "비바람"이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인접한 지역이나 이전에 비가 온 지역에서 일시적으로 비를 불러오는 경우입니다. 바람이 강하게 불거나 기압의 변화로 인해 먼 곳에서 비 구름이 이동하여 맑은 지역에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로머리위에 구름이 없더라도 근처 비구름에서 내린 비가 바람을타고 우리에게도달할 수 있기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