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올해 생긴 북극바다의 얼음구멍은 어느정도수준이며 이로인하여 이번 겨울 한국에 미칠영향은 무엇인가요?

올해 지구가 평균온도가 사상최고로 올라가면서 북극 바다의 얼음구멍이 크게 생겼다고 하던데 어느정도 수준이며 이로 인하여 이번 겨울 한국이나 주변 동아시아에 미칠영향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올해 지구 평균온도 상승으로 북극 바다 얼음구멍이 크게 생겼다는 보도를 들으셨을 것 같습니다. 이 얼음구멍은 실제로 매우 큰 문제입니다. 지난 40년간 북극 바다 얼음의 면적은 1/3 정도 감소했고 이는 지구 온난화의 진행 속도를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북극 바다 얼음구멍의 수준은 매년 변동하며 이는 지구 온난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구 평균온도가 상승하면서 북극 지역의 기온도 상승하고 이는 얼음이 녹는 속도를 더욱 가속화시킵니다. 따라서 얼음구멍의 수준이 크게 생기는 것은 지구 온난화의 진행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북극 지역의 얼음이 녹아 바다 수면이 상승하면서 해수면 상승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과 같은 저지대 지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북극 지역의 기후 변화는 전 세계 기후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한국과 주변 동아시아 지역의 기후 변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북극 바다 얼음구멍의 수준이 크게 생기는 것은 지구 온난화의 심각한 문제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우리가 지구 환경을 보호하고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상기시켜주는 사례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북극 해빙 면적은 411만 제곱킬로미터로, 이는 1979년부터 관측을 시작한 이래 역대 최저 수준입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한 수치입니다. 특히, 북극 동부 시베리아 북쪽의 외해에서 이례적으로 큰 규모의 폴리냐가 발생했는데, 이 폴리냐의 면적은 약 105제곱킬로미터로, 서울특별시의 약 3배에 달합니다. 이러한 북극 해빙의 감소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북극의 기온이 상승하면서, 해빙이 녹고 있는 것입니다. 북극 해빙이 감소하면, 북극으로부터의 한기가 한반도까지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북극 해빙이 감소하면, 북극의 바다가 햇빛을 더 많이 반사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북극의 기온이 더욱 상승하게 됩니다. 북극의 기온이 상승하면, 북극의 공기가 더 뜨거워지면서 한기가 한반도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동쪽시베리아쪽에 거대한 해빙구멍이 만들어졌고, 이로인해 바닷물의 수온이함께 내려가며 매우강한 한파가 발생할 수 있다고합니다.

      크기는 남한면적의 약 70퍼센트에 달하는 거대한구멍이라고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