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되알진치와와155
되알진치와와155
24.02.18

화폐가 없을땐 세금을 어떻게 냈는지 궁금해요

삼국시대나 그럴때는 화폐가 없었을거같은데

그럴때는 세금같은건 어떤방식으로 냈는지가 궁금해요

보통 어떻게 세금을 납부하였고 그 가치는 어떻게 측정하였나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나무777
    나무777
    24.02.19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화폐가 사용되지 않았을 때는 세금을 주로 현물로 받았습니다.

    지역에서 나는 특산물로 받기도 하고, 이게 폐단이 생겼을 때는 쌀로 통일해서 받기도 하고, 면포로 받기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와 조선 시대 등에는 전세와 역 그리고 공납 등이 세금 이였습니다. 화폐가 없을 당시 보통 전세는 토지에서 생사 하는 곡물의 5-10% 정도를 세금으로 납부 하고 군역은 국가의 공사나 건축 등에 노동력을 제공 하였고 공납은 지방의 특산물로 세금을 대신 하는 형태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