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 문의드려요~~~~~~~~~~
앞번에 글 남긴적 있는데요... 실업급여 가 하한액에 못 미치는 4만얼마 될거라는 답글도 있더라구요...작년초 실업급여 두달 받았을땐 급여가 더작았는데도 28일치 135만원정도 받았거든요...
23년 3월~24년 1월까지 (11개월 계약직)-하루6시간 근무
24년 2월,3월 실업급여 받음
24년 4월~25년 2월까지 (11개월 계약직)ㅡ주5일 근무, 알바비 200정도로 신고
25년 3월~7월 (5개월 계약직)
-기본급,가족수당,교통비 다 포함 세전 240정도
세전 금액으로 실업급여 하루일당 계산 되는거에요??아님 세후???
저는 하한액 그금액으로 받는게 맞는지요...???
안녕하세요. 고민진 노무사입니다.
구직급여액
= 퇴직 전 평균임금의 60%(구직급여일액) x 지급일수(가입 기간에 따라 120~270일)
구직급여액은 퇴직 전 임금, 근무 시간, 고용보험 가입기간, 나이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실업급여 계산기를 통해 미리 확인해보세요.
① 퇴직 전 평균임금의 60%(구직급여일액)
퇴직 전 3개월간 받은 임금 총액의 60%를 3개월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단, 구직급여일액은 하루 최대 66,000원을 넘을 수 없고, 최저임금의 80%보다는 낮아지지 않습니다. 최저임금의 80%로 계산되는 하한액은 이직 전 1일 근로시간 8시간을 기준으로, ‘24년 63,104원('25년 64,192원)입니다.
예컨대 하루 8시간 근로하고 매월 250만원을 임금으로 받는 근로자가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근로하고 퇴직한 경우에 받는 구직급여일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퇴직 전 3개월간 받은 임금 총액의 60% = 450만원(250만원×3개월×60%)
* 3개월간 총일수 = 92일(31일+30일+31일)
⇛ 구직급여일액은 ⓵ / ⓶로 계산된 48,910원이나, 이 금액이 하한액인 64,192원('25년 기준)보다 낮으므로 구직급여일액은 하안액인64,192원으로 계산됩니다.
② 가입 기간에 따라 120~270일 지급
지급일수는 고용보험 가입기간과 연령에 따라 달라지며, 최소 120일 ~ 최대 270일입니다. 고용보험 가입기간은 회사를 옮기더라도 계속 누적되어 늘어나지만, 구직급여를 받았다면 그 이전 기간은 제외됩니다.
◼ 가입 기간 및 연령(이직일 당시)에 따른 지급일수
(1년 미만) 50세 미만 120일, 50세 이상 및 장애인 120일 지급
(1년이상~3년미만) 50세 미만 150일, 50세 이상 및 장애인 180일 지급
(3년이상~5년미만) 50세 미만 180일, 50세 이상 및 장애인 210일 지급
(5년이상~10년미만) 50세 미만 210일, 50세 이상 및 장애인 240일 지급
(10년이상) 50세 미만 240일, 50세 이상 및 장애인 270일 지급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실업급여는 평균임금의 60퍼센트를 기준으로 하며, 이는 세전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질의의 경우 실업급여 수급액은 하한액이 적용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