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의함정이란 정확하게 무슨의미인가요?
평균의람평균의함정이라는 용어가 있던데요, 그런데 평균의함정이란 정확하게 무슨의미인가요? 그런데 사례에는 어떤게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평균으로만 상황을 평가한다면 오류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5명의 소득을 100, 100, 100, 200, 1000인 경우(A그룹)와 300,200,300,200,500인 경우(B그룹)를 따져보죠.
평균은 두 그룹이 300으로 같습니다.
즉 평균만으로 따지면 A그룹과 B그룹의 소득 수준은 같다는 결과입니다만 그 속을 살쳐보면 전혀 다르잖아요.
그래서 평균값만으로 어느 사회를 평가하거나 진단할 수 없고 다른 지표들도 병행해서 판단하여 정책을 수립해야 하는 거죠.
'평균의 함정'이란 평균의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데이터를 모두 더한 후에 그 개수로 나누어 놓은 대푯값인 평균은 매우 크거나 작은 데이터가 있으면, 큰 영향을 받는데요, 즉 평균값이 있는 그대로의 실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을 두고 '평균의 함정'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일련의 군대가 강을 건너는데 수심이 평균 1m라는 정보만을 믿고 도하를 하다가 수심이 깊은 특정 지점에서 수영을 못하는 많은 군인이 익사를 했다는 이야기는 평균의 함정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자주 거론됩니다.
평균의 함정은 평균 월급에서 볼수있다고 합니다
월급이 적은 분들도 많지만 매우 높은 연봉을 받는 일부 사람들이 평균을 엄청나게 높여 놓은 것이라고 합니다
물론 부러운 마음이 들수는 있겠지만 단순히 평균 월급에 미치지 못한다고 해서 자격지심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이렇게 평균값이 실제 상황을 파악하는 것을 오히려 방해는 것을 평균의 함정이라고 합니다
평균의 함정은 데이터를 해석할 때 평균값만을 고려하여 오해를 일으키거나 잘못된 결론을 내리는 현상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것은 주로 데이터 분석이나 통계에서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