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코로나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이제 코로나는 극복이 힘들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래서, 독감처럼 위드코로나로 살아야한다는 말도 왕왕 나오고 있더군요. 이 위드코로나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아이를 키우는 사람으로써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도 궁금하구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언제끝날지는 알 수 없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도 자연적으로 계속해서 유전자 돌연변이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돌연변이에 맞춰서 백신도 계속해서 개발되어야하는 상황입니다.
이렇게 코로나와 같이 살아간다는 것이 위드코로나입니다.
기존보다는 모임인원 제한이 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백신을 맞더라도
마스크와 더불어 사회적거리두기를 계속해서 지켜주셔야 하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위드코로나는 코로나의 감염위험도가 있어도 위중증자 발생비율을 낮추는데 촛점을 두면서 거리두기를 하향해서 경제활동을 활성화시키는데 있습니다.
11월 말정에 백신접종률에 따라 결정이 될것으로 보입니다.
백신을 접종했을경우에 코로나에 걸려도 중증도로 진행되는 경우가 거의없기 때문에 백신접종을 했다면 마치 독감처럼 증상이 지나갈수 있어서 거리두기를 하향해도 사망률이 나올확률이 적어질것이라는 예측을 하기 때문이에요.
실제로 외국에서도 위드코로나를 하는 국가들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말씀하신 것 처럼 우리는 위드 인플루엔자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코로나19에 대해서도 이렇게 되어야 겠지요
코로나는 향후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비슷하게 될 것 같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도 종류가 200가지 정도 됩니다. 우리는 그 중 매해 유행 할 것 같은 4개 정도의 형태에 대해서 집단 면역을 형성하고 대응 하지만 매해 엄청나게 많은 수의 독감 환자가 발생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도 이미 예전부터 대표적인 감기 바이러스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번에 유행하는 covid19라는 코로나바이러스는 전염성과 치사율이 높은 것이 문제입니다. 그럼에도 적절하게 집단면역을 획득하면 독감보다 낮은 발생율을 보이게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이 질병을 두려워 했던 것은 사실 불확실성 때문 이었습니다. 현재는 통제하에 있고, 불확실성이 많이 제거 된 상태입니다. 제 생각에는 독감 예방접종처럼, 연례 행사로 코로나 예방접종을 하게 되겠지만 지금처럼 사회가 통제되는 수준으로 다시 가는 경우는 매우 드물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백신 접종률로는 기약이 없습니다.
우선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전국민 백신 접종이 완료되고 확진자 수가 확실하게 줄었을 때로 예상됩니다.2차접종완료자수가 70%정도는 되어야 위드코로나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의 효과를 최대한 얻기 위해서는 2차의 접종이 모두 끝나야 합니다.
현재로서는 영국 및 싱가폴과 같은 선진국의 경우, 2차 접종 완료 70%를 기준으로 정책을 정하고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한국도 2차접종완료기준 70%정도 생각되는데,
2차접종 70%가 되려면 내년은 되야할것같습니다.
답변남깁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적어도 고위험군에 대한 2차 접종이 80%는 이뤄져야 '위드 코로나'가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접종률로 보면 생각보다 빨리 오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빨라야 내년봄 늦으면 내년 여름넘어서 일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많은 사람들이 접종을 하고 있고, 접종을 많이 할수록 집단면역이 생겨, 코로나가 전파되는 것이 늦춰질 수 있습니다. 그로 인한 효과를 토대로 현재의 위드코로나 시대가 시작되는 것입니다.
아이들의 경우 접종을 하지 않았어도 집단면역에 의해 생각보다 쉽게 감염되지 않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의 백신접종 속도라면 2022년까지 집단면역에 도달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위드코로나를 추진하는 근거는 전국민 70%가 2차접종을 완료 한 후 집단면역을 기대하기 때문입니다. 아래 첨부한 통계를 보면 돌파감염자 비율은 10만명당
교차접종 12.6명 < 화이자 25.9명 < 아스트라제네카 87명입니다
이를 퍼센트로 환산하면
교차접종0.0126% < 화이자 0.0259% < 아스트라제네카 0.087%입니다
이는 마스크를 쓰고 접종이 완료될 경우 위드코로나 정책으로 선회해 사회활동을 재개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수치입니다.
참고뉴스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0911050104776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바이러스는 기본적으로 감기 바이러스입니다. 독감이나 감기가 매년 기승을 부리듯이 코로나도 우리 사회의 일부가 되었다고 보는 것이 맞을 듯합니다. 개인 방역으로 최대한 감염되는 빈도를 줄이고, 백신을 맞아서 독감처럼 걸리더라도 치명률을 떨어뜨리는 방법이 가장 현명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어느정도 거리두기 완화나 위드코로나를 하려면 확진자 수가 현저히 감소하고 전국민 백신 접종이 완료되어야 합니다.
-현재 확진자 수로는 마스크 벗기는 불가능 하며, 향후 전국민백신 접종이 완료되었을 때 어느정도 마스크를 벗고 거리두기가 완화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최소 6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상 코로나 바이러스는 변이가 매우 쉽고 전염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최소 1-2년 간은 완전 종식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위드코로나도 마찬가지입니다. 경제적인 문제때문에 성급하게 실시하는 것 같은데, 방역차원으로 봐선 아직 멀었습니다. 확진자가 아직 너무 많고, 백신 접종률이 90%가 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