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그리운물수리18
그리운물수리1823.09.08

소아과병원은 왜 이렇게 턱없이 부족한가요?

출산율이 많이 줄어들었다고는 하지만 아이가 아플 때 소아과 병원을 가면 기본 한두시간 기다리고 어떨 때는 마감돼서 진료도 못 보는데 왜 이렇게 턱없이 부족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8

    안녕하세요. 예쁜다람쥐85입니다.

    소아과 자체가 기본적으로 외과 내과를 포함한 모든 진료가 가능하기때문에 실제 공부하기도 힘들다고 합니다.

    거기다 요즘 아이들 수는 줄어드니 그런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멋진 손자 이쁜손녀 할머니임~입니다. 맞아요 ? 요즈음 손자 손녀들을 병원에 데리고 가면 기본이 1~2시간 소유가 되요 짜증도나도 좋은 대책이 나왓으면 좋겟다는 생각이 들어요~


  • 안녕하세요.

    말씀처럼 주위에 아이들을 위한 소아과 병원이 많이 부족한것이 현실인것 같습니다. 들리는 이야기로는 의사분들중에서도 소아과 의사분들이 고생하시는 만큼 보상도 많이 따라주지 않고 조금 더 힘들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습니다.


  • 소아과 병원이 부족한 이유는 복잡하며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이유가 포함됩니다:

    1. 인구 증가: 일부 지역에서는 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아이들의 수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소아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2. 전문 의료진 부족: 소아과 의사와 간호사 등 전문 인력 부족이 소아과 병원의 운영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소아과 전문의의 양성과 확보가 필요합니다.

    3. 병원 자원 부족: 의료 시설과 장비, 침대 등의 병원 자원이 부족한 경우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4. 긴 대기 목록: 일부 소아과 병원은 대기 목록이 길어져 예약이나 진료를 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5. 긴급한 환자: 긴급한 환자가 도착하면 우선순위가 주어져서 다른 환자의 대기 시간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6. 병원의 입장: 병원은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환자의 수용 한도가 있으며, 안전한 의료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대기 시간을 조절해야 할 수 있습니다.

    7. 정책 및 자원 배분: 정부 정책 및 의료 자원의 효율적인 분배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책과 자원 배분이 적절하지 않으면 부족한 지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소아과 병원에서 대기 시간이 길어지거나 서비스가 부족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의료 당국, 병원 및 의료 전문가 간의 협력이 필요하며, 의료 자원의 증가와 확대된 접근성을 통해 이를 개선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는 치킨값에서 소고기값으로입니다.

    기본적으로 같은 의사 공부를 하엿지만 수가가 적기 때문 입니다.

    환자 한명당 받는 돈이 적기 때문에 소아과를 기피하는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