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진기한텐렉12
진기한텐렉12

왜 눈도 비처럼 물로 만들어졌는데 무지개가 안 뜨나요?

아이가 물어봅니다.

비가 내리면 무지개가 뜨는데

눈이 내리면 왜 무지개가 안 뜰까요?

8살 아이가 알아들을 수 있게 설명하고 싶네요.

저도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내리면 무지개가 뜨는 이유는 빛이 물방울을 통과할 때 굴절되고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눈은 물과는 조금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무지개가 뜨지 않습니다. 눈은 물보다 더 작은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빛이 반사되는 각도가 다르고 빛이 눈 안에서 여러 번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눈에서는 무지개가 형성되지 않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내릴 때, 태양 빛은 비 방울에 의해 굴절되고 반사되어 무지개가 형성됩니다. 무지개는 태양 빛이 빗방울을 통과하고 굴절, 반사, 내부 반사를 거치면서 색상 스펙트럼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눈은 비와는 달리 작은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눈이 떨어질 때 태양 빛은 얼음 결정에 의해 산란되고 반사되지만, 무지개를 형성하는 조건인 빗방울이나 빛의 굴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눈이 내릴 때는 무지개가 형성되지 않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내릴 때 무지개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눈이 내리는 과정에서 빛의 굴절과 반사 현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무지개는 태양빛이 빗방울과 같은 물방울에서 굴절과 반사되어 빛의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즉,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빛이 물방울에서 굴절되고 반사되어 무지개가 생기지만, 눈속으로 들어간 빛은 반사되는 경로가 다르기 때문에 무지개가 생기지 않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태양빛이 물방울에

      부딪혀 굴절되고

      산란되어 생기는 현상입니다.

      비가 내릴 때는 공기 중에

      많은 물방울이 떠다닙니다.

      태양빛이 이 물방울에

      부딪히면 물방울의 표면에

      굴절되어 7가지 색으로 쪼개집니다.

      이 빛이 다시 산란되어 우리의 눈에

      도달하면 우리는

      무지개를 보게 됩니다.

      눈이 내릴 때는 공기 중에 물방울이

      아닌 눈송이가 떠다닙니다.

      눈송이는 물방울과 달리

      둥글지 않고 표면이 거칠습니다.

      태양빛이 눈송이에 부딪히면

      물방울과 같이 굴절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해 버립니다.

      눈이 내릴 때는 무지개가

      생기지 않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