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3.11.27

유교는 어떻게 조선시대에 입지를 늘린 것인가요?

조선시대 이전에도 유교는 한반도에 존재했지만, 불교의 입지가 가장 컸습니디. 그러나 조선시대가 되면서 유교의 입지가 커졌는데 어떤 이유때문에 가능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전기 정도준, 조준, 남은 등의 신진사대부는 고려를 멸망시킨 뒤 조선을 건설하면서 국가 이념으로 성리학을 채택, 이에 전국의 부, 목, 군, 현마다 1개의 향교를 겅설해 유교 이념의 전국적인 보급을 꾀합니다.

    독자적인 철학의 발전은 여전히 미미했으나 전국에 양반 계층이 자리잡은 것은 후대 성리학을 지배이념으로 강고히 굳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건국을 주도한 혁명파 신진사대부는 성리학을 새로운 통치 이념으로 삼아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내세우면서 유교적 민본 정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문물제도를 정비하였습니다. 아울러 중화를 존중하고 오랑캐를 배척하는 화이론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명 중심의 국제 정세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였습니다.

    또한 초기 조선은 유교 정치를 구현하기 위해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이루는 통치 제체를 갖추고 노력하였으며, <경국대전>으로 유교적 법치 국가의 토대가 마련되었습니다. 또한 국조오례의, 삼강오륜 등을 통해 질서 확립해 나갔습니다.

    조선 건국에 참여하지 않았던 온건파 신진사대부들은 도덕과 의리에 바탕을 둔 왕도 정치를 추구하면서 유교 윤리를 바탕으로 농민들을 이끌어 가기 위해 향약 보급을 확대하였습니다. 16세기 사림들은 중앙 정계에서 주도권을 장악하고 성리학을 사상적 기반으로 통치에 이바지하였습니다. 17세기 이후 성리학적 생활 규범이 정착되면서 정치 이외에도 사회 전반에 걸쳐 유교 질서가 확고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말에 안향과 백이정에 의해 들여온 성리학의 보급으로 여말선초에 신진사대부 계층이 형성되었고 이들은 목은 이색을 중심으로 절의파인 포은 정몽주 등과 역성혁명파인 삼봉 정도전 등으로 나뉘어지게 됩니다. 절의파의 정몽주는 이방원에 의해 제거되어 조선은 역성혁명파들의 주도하에 건국되었으며 그들의 건국이념이자 교육목표는 성리학이었습니다. 더군다나 고려의 기득권 세력들이 불교를 신봉하였기 때문에 이를 혁파하고자 성리학을 주이념으로 삼은 것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