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진화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이고 지금 현실적인 산불 진화 대책이 무엇인가요?
지난 주말 사이 동시다발적인 산불이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산불이 좀처럼 잡히지가 않는다고 하는데 이렇게 진화가 힘든 이유는 무엇인가요?
현재 많은 사람들이 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번지는 속도가 더 빨라 보이는데 이럴 때 진화 작업을 하는 분들이 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책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산불진화가 어려운 이유는 건조한 환경은 불이 붙기 쉽게 만들고, 강한 바람은 불씨를 빠르게 확산시켜 진화 인력과 장비가 접근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바람 방향이 계속 바뀌면 진화 작업 방향을 잡기도 힘들어집니다.
산악 지형은 불규칙하고 가파른 곳이 많아 소방차나 진화 인력이 접근하기 어렵습니다. 진화 장비를 가지고 이동하는 것 자체가 큰 어려움이며, 진화 인력의 안전에도 위험이 따릅니다. 건조한 공기와 높은 기온은 연료(나무, 낙엽 등)를 더 쉽게 타게 만들고, 불길의 강도를 높입니다. 진화 작업 중에도 증발이 빨라 물을 뿌리는 효과가 떨어지기도 합니다.
산불진화대책으로는 불길이 번지는 예상 경로를 파악하여 도로, 하천, 기존의 임도 등을 활용하거나, 나무를 미리 베어내는 등 인위적으로 불이 더 이상 넘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어선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명 피해나 재산 피해가 우려되는 마을 주변에 우선적으로 방어선을 만드는 등 전략적인 판단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헬기, 소방차, 진화 인력 등 동원 가능한 모든 자원을 산불의 규모와 위험성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곳에 집중 투입해야 합니다. 특히 대형 헬기는 한번에 많은 양의 물을 뿌릴 수 있어 초기에 불길을 잡는 데 효과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진화하기 힘든이유는 기후 위기로 인해 가문과 강풍이 장기화 되면서 산불 발생 빈도와 확산 속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봄철 동해안 지역에서 건조한 날씨와 강풍이 낙엽과 잡목이 쌓여 연료 물질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화재가 빠르게
번지게 되었습니다. 현실적인 대책은 헬기 지원 확충과 산림 내 낙엽.잡목 수거, 방화선 구축을 통해 연소 물질을 감소할 필요가 있으며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중심으로 유관기관 협업을 강화하여 산불 다발 지역에 헬기 장비를 사전에 배치하여
신속한 대응을 위한 통합 지휘 체계를 갖추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일단 산불진화의 첫번째 방법이 바로 헬기로 인한 진화 이기 때문입니다.
진화대원이 화재 발생지까지 들어가는것이 도시와는 다르게 길이 없는 산중턱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경우는 직접 물을 들고 불을 끄러 갈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산불의 주요 산불제거방법은 헬기를 통한 공중 진화 입니다.
이번에는 건조한 날씨에다 풍속이 빨라 산불이 빨리번지기도 하였고 헬기로 진화를 해야 하는데 송전탑등이 헬기의 운행을 방해하여 진화가 지연된 점이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