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황금발구지
황금발구지21.04.07

칫솔에 묻히는 치약의 양이 어느정도가 되어야 구강 위생에 도움이 될까요?

치약 광고를 보면 칫솔 전체에 치약을 가득 바르고 양치질을 하는 것을 보게 됩니다.실제로는 그정도의 양은 쓰지 않게 되던데, 양치질을 할때마다 치약의 양이 적은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적당히 거품이 나는 정도의 불소 함량이 필요하다면 아주 적은 양으로도 양치질이 가능하던데,구강 청결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치약의 양은 어느 정도 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양치질 할 때 얼마나 치약을 짜야되는지 궁금하시군요.

    치약은 일반적인 칫솔모길이의 반정도만 짜서 쓰시면 됩니다.

    너무 많은 양의 치약을 사용한다면 마모제 성분이 많아서 치아을 마모시킬 수 있고 너무 적으면 거품은 나는데 마모제가 적어서 충분한 기계적세정이 안되기 때문에 칫솔의 반 정도 짜서 양치질 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칫솔질을 하실때 치약의 양이 너무 많을 필요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콩알정도의 치약을 사용하라고 말씀드리는데요 칫솔의 1/3정도 의 양을 사용하시면 충분하실 꺼에요.

    치약안에는 음식물 제거를 위해 날카로운 마모제가 들어 있기 때문에 너무 강하게 칫솔질을 하시면 치아에 마모가 될수 있으니 적당한 힘으로 꼼꼼하게 닦아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동주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약이 많다고 해서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잘 닦아내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너무 많은 치약 사용은 입을 헹군 뒤에도

    입안에 치약이 잔류하기 쉬워 건조증 및 구취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치약이 구강내 이물질과 흡착하여 잔류하기 때문).

    칫솔의 3분의1~4분의1 내지 정도만 짜주시는 것이 알맞은 치약 사용량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구강 청결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치약의 양은 제품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과거 치약 들에 비해 세정력 및 마모능력이 커져 콩알 만큼 짜서 사용하더라도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즉 너무 많이 사용하는 것보다 콩알정도로 사용해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으니 한번 적용해보시길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