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외로운당나귀218
외로운당나귀218
22.04.27

사람 눈은 두 개인데 물체는 하나로 보이는 이유는?

사람 눈은 두 개인데 보이는 물체는 하나로 보입니다. 따로따로 보여야 하는 것 아닙니까? 어떤 원리로 두 개의 눈에 보이는 물체가 하나로 느껴지는지요? 하나의 신경으로 눈을 통제하는 것인가요?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22.04.28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 물체가 두개로 보이기는합니다.

    다만 멀리있는 물체의 입장에서는 왼쪽눈이나 오른쪽눈이나 각도가 비슷해서 이미지가 별차이가 없어보이죠.

    예를들면 카메라두대를 딱 붙여서 동시에 사진을찍는다고 치면 멀리있는 산을 찍을때에는 두 사진이 비슷하게보이지만

    바로앞의 컵이나 손가락등을찍으면 두 사진이 다르게 촬영됩니다.

    눈도마찬가지로 카메라두대로 동영상을찍는다고 이해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때문에 물체를 입체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은 두개로 물체를 보지만 물체를 인식하는것은 뇌입니다

    뇌에서 두개의 눈에서 오는 신호를 관장해서 물체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하나로 보이는 것입니드

  • 눈이 하나의 초점을 보기 때문에 눈이 두 개라도 물체가 하나로 보이게 됩니다.

    양쪽 눈의 망막이 동일한 위치에 똑같은 크기로 맺히게 됩니다.

    이렇게 눈에 맺힌 물체가 시신경에 의해 뇌에서 융합돼 1개의 물체로 감각하게 됩니다.

  • 양쪽 눈에서 주행하는 시신경은 뇌의 배쪽에서 서로 교차하는 시각교차에서 일정 부분 시각 정보를 교환하고

    시각 피질에서 이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편집하고 우리가 감각하는 시각을 완성합니다.

    마치 여러 LCD판넬을 연결하여 거대한 단일 전광판을 만드는것과 유사한 원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때문에 손상 부위에 따라 부분 시야 결손도 유발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