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복용 중에 코로나 접종은 상관없나요?
치료용이 아닌 보약 개념의 한약복용중에
코로나 예방접종은 상관 없는지요?
아님 한약복용 중단한 후에 코로나 예방접종을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말씀하신 것은
코로나 백신과는 전혀 상관없습니다.
걱정하지 마시고 코로나 백신 접종하시면 됩니다^^
항상 건강하고 코로나 감염되지 않길 기원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안녕하세요.
질문자님께서는 한약 복용 중에 코로나 백신 접종이 가능한지 궁금하시군요.
해당 사례는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정확히 알 수 없으며, 가급적 백신 접종 후 잠시 복용을 중단하시고, 2주 뒤에 다시 복용하는 것을 권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한약성분에 따라 다를 수는 있습니다.
코로나 백신접종과 대부분의 약물은 크게 관련이 없으므로 접종 당일까지 계속 복용하셔도 됩니다. 기존 약물복용 스케줄을 조절할 필요 없이 복용하시고 접종은 접종대로 받으세요~
다만 타이레놀, 이부프로펜 계열을 제외한 소염제들은 항체형성에 방해가 될 수 있으니 담당의사와 상의 후에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한약 복용은 백신 접종후 항체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에 백신접종 전후에 복용하시어도 가능하며 기존에 복용하시던 시간대에 동일하게 복용하시어도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백신의 경우 질문자분의 상황과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걱정되실수 있겠지만,전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걱정하지마시고 백신접종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백신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궁금하시군요,
코로나 백신 맞으셔도 괜찮습니다.
코로나 백신 접종과는 전혀 무관합니다.
걱정하지마시고 접종하시면 됩니다.
답변남깁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너무 걱정하지마십시오, 백신을 맞아도 괜찮습니다.
증상이 있을 때 약을 드시기 바랍니다.
너무 불편하시면 병원에 가보시기 바랍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445151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130004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
백신접종에 따른 이상반응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해열제 복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해 드리니, 안전한 접종을 위해 국민과 의료진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1.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제가 다른 해열진통제보다 권장됩니다.
2.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을 못 드실 경우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아스피린 등 기타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
3. 백신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드시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
4. 약을 드셔도 39도 이상 열이 나거나 발열, 두통, 전신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백신+개인위생+사회적 거리두기 해주십시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진성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복용중인 약은 계속 복용하셔도 됩니다. 특정 약이 백신의 항체형성 반응을 저해한다는 근거는 없습니다. 하지만 접종 후 이상반응을 보인다면 현재 다니고 있는 병원에 한번 들러보시는게 좋아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한약복용하면서 백신 접종 가능하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일반적으로 한약의 경우 백신과 크게 상호작용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접종 전 의료진에게 한약 드시고 있다고 말씀만 해주시면 문제안됩니다. 굳이 중단할 필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국소 시술의 경우 전신 면역반응과 무관할 것으로 사료되며 해당과에서 처방되는 복용약물에 소염제, 스테로이드제재가 없는 경우는 약물복용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한약은 어떠한 성분이 들어갔는지 확실치 않기 때문에 중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백신 접종을 받기 전 약물 복용 관련 고려사항
백신 관련 부작용 예방 차원에서 백신 접종 전에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일반의약품을 복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약 복용이 백신 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그러나 다른 이유로 이러한 약품을 정기적으로 복용하는 사람은 백신 접종 전에도 계속 이를 복용하셔야 합니다. 또한 알레르기 반응을 예방하기 위해 COVID-19 백신 접종 전에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것도 권장하지 않습니다.
백신 접종 후 부작용을 완화할 수 있는 의약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대부분의 경우, 다른 기저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일상적으로 복용하는 약을 COVID-19 백신 접종 시기에 삼가거나 중단 또는 연기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면역체계를 억제하는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은 COVID-19 백신 접종의 효과와 접종에 가장 좋은 시기에 대해, 현재까지 알려진 것과 알려지지 않은 것을 두고 담당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중등도에서 중증까지의 면역부전 환자를 위한 COVID-19 백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약물을 복용하더라도 COVID-19 백신을 맞을 수 있습니다. 다음 약물 중 하나를 복용한다고 해서 COVID-19 백신 접종을 피할 이유가 없습니다.
비처방약(일반의약품)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나프록센,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등)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자가면역질병 치료를 위한 생물학적 제제 또는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
화학 요법 또는 그 외의 암 치료 약물
항바이러스제
항생제
스타틴
혈압약/항고혈압제(암로디핀, 리시노프릴 등)
이뇨제
갑상선 약물
항우울제
메트포르민
당뇨병 치료제
인슐린
스테로이드(프레드니손 등)
이것은 완결적인 목록이 아니며 일반적인 약물의 몇 가지 예를 제공한 것입니다. 이러한 약물을 복용해도 COVID-19 백신 접종이 유해하거나 위험하지 않습니다.
복용 중인 약물에 대해 질문이 있는 경우, 담당의 또는 백신 제공자에게 문의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명훈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크게 상관은 없겠습니다. 다만 한약 성분에 따라서 항체 형성을 저하할수도 있겠습니다. 보통 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 성분이 포함된 약은 항체 형성을 저하할수 있습니다. 한약 복용 후 발열이나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있다면 코로나 백신 접종 후의 이상반응과 혼동될수 있기 때문에 복용을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백신 접종 전에 특정한 건강보조식품이나 고지혈증, 고혈압 등의 기저질환 약물 복용을 중단할 필요는 없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약들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나타나고 있지 않고 부작용이 나타나더라도 연관성이 많이 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면역억제제나 스테로이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접종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 후 접종하셔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한약은 한방사마다 나름 자기들만의 '비법'으로 만들기 때문에 어떠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약을 복용하는 것이 코로나 접종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 사전에 예측할 수 없으며 안전하다고 말씀 드리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최소 3일은 끊고 접종 받으시길 권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로서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의 기저질환자들이 약을 복용하고 있더라도 큰 문제는 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드시는 약 또한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나 너무 걱정이 된다면 약을 처방해주신 주치의 선생님과 충분한 상담을 거친 이후에 백신 접종을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스테로이드 주사나 면역억제제 등을 복용하고 있다면 조심할 필요가 있으나 아직까지 의견이 분분한 편입니다. 이때는 전문가와 충분히 상담 후 접종하시길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질문하신 약제들은 코로나 백신 접종과 크게 연관성이 없습니다. 드셔도 되겠습니다.
일반적인 주의사항은 지속되는 두통, 발열, 근육통입니다. 시야흐림, 발작, 숨참, 흉통, 다리통증, 복통, 주사부위 이외에 점상출혈, 피부 멍 등이 나타나면 진료를 받아보길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특별히 한약을 먹는다고 하여도 백신 접종에 있어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너무 걱정마시고 백신 접종 예정대로 진행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한약을 복용중이시라면, 백신접종 3일전부터 한약복용을 중지하실 수 있습니다.
접종후 몇일간 증상을 지켜보시고, 3일후에 증상이 없다면 한약을 드실 수 있습니다.
정확한것은 담당의료진과 상의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혜원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 전, 후에 주의해야될 약물들은 면역에 관련된 약물과 소염작용에 관련된 약물입니다. 따라서 스테로이드나 면역억제제 같은 약물 외에는 평소처럼 똑같이 복용하시고 접종을 받으시면 됩니다. 또한 접종 후에도 스테로이드나 면역억제제 같은 약물이 아니라면 복용하셔도 무관합니다. 하지만 한약의 경우 성분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접종 전 1주일은 중단하고 접종하시고 그 이후에는 2주정도 중단하시는게 안전할 것 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닥터최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혹시나 모를 백신의 효율성 감소 가능성으로 진통해열제, 진통소염제, 스테로이드 등은 선제적 복용을 권고하지 않습니다. 항히스타민제도 미리 복용 시 알러지 반응을 가릴 수 있어 후에 중증 알러지가 생기는 것을 놓칠 가능성을 생각해 되도록이면 일괄적으로 접종 전 복용은 권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임상적인 적응증이 있어 (질문자 님과 같은 특정 질환이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약제) 복용해야 한다면 그 복용을 지속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한약의 경우 성분이 다양하며 불명확한 것이 많고 또한 약간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규모 연구등이 시행된 바 없어 연관성을 짐작하기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