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뽀로로
뽀로로23.05.05

날씨를 예측할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기상청에서 날씨를 미리 예측해주는데 그렇게 날씨 예측이 가능한 과학적인 원리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지진 같은 것도 어떻게 미리 예측이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날씨를 예측하는 원리는 대기의 상태와 운동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대기는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의 질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한 압력과 온도, 수증기 등의 조건에서 상태가 유지됩니다.

    날씨 예측은 이러한 대기의 상태와 운동을 모델링하여 예측하는 것입니다. 대기의 상태와 운동은 대기 중의 온도, 기압, 풍속, 습도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적인 모델을 구성하여 예측합니다.

    이러한 모델링은 수치 예측 방법과 통계적 예측 방법 등이 있습니다. 수치 예측 방법은 대기의 운동을 수리적으로 모델링하여 미래의 대기 상태를 예측하는 방법이며, 통계적 예측 방법은 과거의 기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래의 날씨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대기의 상태와 운동은 매우 복잡한 문제이기 때문에, 예측이 100% 정확하게 이루어지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많은 양의 데이터와 계산 능력, 그리고 예측 모델의 성능 개선 등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진과 날씨의 예측은 좀 다릅니다.

    날씨의 예측은 통계학에 기초합니다.

    과거 닐씨 관측결과를 바탕으로 현재의 기상상태를 대입하여 앞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날씨를 예보하는 것입니다.

    즉, 현재의 기상상태와 같거나 비슷한 기상상태를 과거에서 찾고 그 이후 발생한 날씨를 확인하여 예보하는 형태입니다.

    하지만 지진은 이러한 예보를 하기에는 데이터가 부족합니다.

    대신 지하의 각종 지진파나 지각의 움직임, 온도 변화 등을 통해 예측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날씨자체가 일정하지 않기때문에 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기상청은 실시간 날씨를 제공해 주는 것신데요.


    그러기 위해 기상청은 10분간격으로 레이더의 초단기 예측자료와 수치모델로 실시간 강수영역 예측이 가능합니다.

    -> 주변국과의 정보교류도 실시간으로 진행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