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오늘 새벽에 발표한 관세정책 때문에 엄청난 미증시 하락이 있었던데요.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가 틀리더라구요.
이건 어떠한 이유때문일까요?
관세를 부과한다고 하면서 처음부터 으르렁대던 캐나다와 멕시코에는
아예 관세를 부과 안하던데요.
반면 동남아시아 쪽에는 굉장히 많은 관세를 또 부과하구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은 국가별 무역 관계, 정치적 이해관계, 경제적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차등적으로 적용되며, 캐나다와 멕시코는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로 경제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관세 적용에서 제외된 반면,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미국과의 무역 불균형이 크거나 특정 산업에서 경쟁 관계에 있어 높은 관세가 부과되었으며, 결국 이러한 정책은 미국의 경제적 이익과 동맹 관계를 고려한 전략적 선택이며, 단기적으로 시장 변동성을 초래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무역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캐나다, 멕시코의 경우 USMCA 협정에 따라 조건을 충족하는 상품들에 대해 관세가 면제되었습니다. 또한 불법 이민과 마약 문제에 미국에 협력하기로 함에 따라 관세가 유예되었습니다. 반면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미국과의 무역으러 상당한 흑자를 누리고 있어 이것이 불공정하다고 여겨 높은 괸세를 부과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상호관세율에 대한 내용입니다.
나라마다 차등 적용할 것을 미국이 선포했고
이는 미국의 입장에서 자신들에게 가장 유리한 숫자를
취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캐나다랑 멕시코는 이민 문제와 마약 문제로 이미 별도 관세 25프로를 부과 받은 상태라 이번에 빠진거 같습니다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에 관세를 크게 부과한건 결국 나이키 같은 곳에서 베트남에 공장 세워서 미국으로 들여오니 미국에서 만들 수 있는건 미국에서 다 만들게 하려는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미국 제조업을 부활시켜보자는게 트럼프 관세정책의 큰 줄기 거든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호관세 조치 전 캐나다와 멕시코에는 이미 2월부터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가 4월 2일까지 유예를 걸어뒀을뿐 실제 캐나다와 멕시코 역시도 관세 조치가 오늘부터 시행됩니다.
또한, 나라마다 상호관세가 다른 이유는 상호관세 자체가 상대국이 부과하는 관세율 수준에 맞춰 동등한 수준의 관세를 매기는 것이기 때문에 나라마다 다를수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