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겨울에도 모기가 살 수 있나요?

2019. 12. 17. 12:29

지금 12월 중순인데도 아직도 집에서 모기가 나오네요.. 어디서 나오는건지 모르겠지만 ㅠㅠ

한 겨울에도 모기가 살 수 있나요?


총 2개의 답변이 있어요.

모기는 겨울에도 부화할 수 있는데 모기의 성충은 가을에 월동에 필요한 영양분을 쌓은 후 온도 유지가 가능한 곳에서 몸을 웅크린 채 겨울은 난다. 온도가 높은 실내에서는 겨울에도 생존 가능성이 높다. 여름보다 가을 모기가 더 극성이라는 말이 여기서 나온 것이다.

------------------------------------------

여름 보다보다 강한 가을·겨울 모기, 인간에게 더 많은 해를 입힌다

겨울이 한창이다. 추운 계절에 사람들은 두꺼운 옷을 꺼내 입고 전기장판을 방에 깐다. 사람처럼 모기도 알과 성충으로 월동준비를 하고 있다.

모기는 겨울에도 부화할 수 있는데 모기의 성충은 가을에 월동에 필요한 영양분을 쌓은 후 온도 유지가 가능한 곳에서 몸을 웅크린 채 겨울을 난다. 온도가 높은 실내에서는 겨울에도 생존 가능성이 높다. 여름보다 가을 모기가 더 극성이라는 말이 여기서 나온 것이다.

겨울에 필요한 영양분을 얻기 위해 여름 모기보다 더 활발히 활동한다. 모기들은 심지어 병을 옮기기도 한다.

먼저 고열이 나며 특이한 발작을 일으키는 열대병 말라리아가 있다. 말라리아 원충이 매개 모기가 되며 오한, 두통, 구역, 발열, 혈소판 감소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항말라리아 약을 복용해야 한다.

이는 투약 중단 시 재발 가능성이 있으므로 처방받은 약을 끝까지 복용해야 한다. 특히 말라리아는 백신이 없으므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작은 빨간집모기가 사람을 무는 과정에서 인체에 감염돼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증상은 두통과 발열을 유발하는데, 감염자의 95%는 증상이 없어 발견하기 힘들다. 일본뇌염은 특이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감염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에 대한 치료만 가능하다. 백신은 사백신과 생백신으로 나뉜다.

뎅기열은 급성 열성 바이러스 질환이며 뎅기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모기가 사람을 무는 과정에서 전파된다. 고열, 두통, 근육통, 관절통, 피부발진의 증상이 나타나며 출혈 현상뿐만 아니라 혈압이 떨어지고 다른 장기들의 기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생겨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뎅기열은 효과적인 백신이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황열은 원숭이나 주머니쥐의 피를 빨아먹은 모기가 사람을 물게 되면 저혈압 증상이 나타나고 신장기능이 저하되어 혈액을 투석해야 한다.

이는 황열 예방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는데 한 번의 접종으로 10년 동안 예방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모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먼저 모기 자체를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 고인 물이 없도록 관리해야 한다.

또한 여름철에는 오후 10시부터 오전 4시까지 야외활동을 가능한 자제해야 하며 야외활동 시 긴소매, 긴바지, 모기기피제를 이용해야 한다.

또 모기는 향에 민감하기 때문에 땀을 많이 흘린 경우에는 반드시 샤워를 하고 모기가 많은 지역으로 여행을 간다면 반드시 예방접종을 맞아야 한다.

백하늘 청소년기자 webmaster@jemin.com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http://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560366]

2019. 12. 18. 11:43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겨울에 모기 걱정을 하는 집이 있을까요? 어쩌면 이 겨울에도 집 어느 구석에서 모기가 깨어나 이잉 소리를 내며 날아다닐는지 모릅니다. 지난날에는 가을만 접어들어도 모기가 꼼짝없이 얼어죽거나 사라졌습니다만, 요즈음은 겨울에도 집이나 건물이나 지하상가 같은 곳은 꽤 포근해서 겨울잠을 잊은 모기가 제법 돌아다니곤 합니다.

    다시 말해서 겨울이 된통 추우면 모기가 깨어나지 못해요. 겨울에 집안을 너무 따뜻하게 한다면 모기가 슬금슬금 깨어납니다. 이 모기를 놓고서 이야기를 풀어내는 <모기가 궁금해>(자연과생태 펴냄)라는 책이 있습니다.

    우리 주변에 사는 보통 모기는 무게가 2.5.㎎ 정도이며, 미국에서 가장 큰 종은 10㎎에 이른다고 합니다. (10쪽)

    전 세계에 3500여 종이 있습니다. 그러나 분자생물학 방법으로 꾸준히 조사한다면 6000종 이상은 될 듯합니다. 참고로 중국에는 390여 종, 일본에는 120여 종이 삽니다. 우리나라에서는 56종이 보고되었습니다. (14쪽)

    모기가 이 지구별에 3500갈래 남짓이 있다니 참 대단하네 싶습니다. 이렇게나 온갖 모기가 많군요. 한국에는 고작(?) 쉰여섯 가지 모기가 있다고 하니 몇 가지 안 되는구나 싶어요. 어쩌면 한국은 모기로 덜 시달리는 곳이라고 할는지 모르겠습니다.
     사람 목숨을 빼앗은 차례에서 모기가 대단히 앞자리에 있다고 합니다.사람 목숨을 빼앗은 차례에서 모기가 대단히 앞자리에 있다고 합니다.


    알에서 나온 애벌레가 짝짓기를 하고 피를 빨 수 있는 어른벌레가 될 때까지 20일 정도가 걸리며, 이 어른벌레가 3번 정도 알을 낳고서 죽는다고 하면 30일쯤 사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겨울나기에 들어가 전혀 움직이지 않고 지낸다면 5∼6개월 동안 수명을 유지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여기서 한살이는 알을 낳는 암컷 기준이며 알을 낳지 않는 수컷은 짝짓기를 하고 며칠 뒤에 죽습니다. (21쪽)

    모기는 1초에 최대 1000회 날갯짓하며 그 범위는 165∼1000회에 이릅니다. (44쪽)

    모기는 얼마 살지 못한다고 합니다. 다른 벌레도 짝짓기를 하고 나면 곧 숨을 거두니, 가만히 따지면 벌레붙이 한살이란 매우 짧다고 할 수 있어요. 게다가 암모기는 세 번쯤 알을 낳으면 더는 살지 못한다고 하니, 엊그제 나를 문 모기는 오늘 나를 새로 물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모기가 궁금해>는 모기를 둘러싼 수수께끼를 잘 풀어내 줍니다. 모기란 무엇이고, 모기는 어디에 살며, 모기가 살기 좋은 온노라든지, 어떤 냄새를 좋아하고, 왜 피를 빨며, 피를 얼마나 빨고, 모기가 무엇을 싫어하는가 들을 다룹니다.
     모기 화석모기 화석


    그리고 모기가 좋아하는 사람을 다루기도 하는데, 모기는 술을 마신 사람이나 아기를 밴 어머니나, 운동을 한 사람이나, 발냄새가 나는 사람이나, 몸집이 크거나 향수를 뿌린 사람을 더 좋아한다고 해요.

    아기를 밴 어머니나 운동을 한 사람은 몸 온도가 여느 사람보다 높기에 모기로서는 더 잘 알아채고, 몸집이 크면 몸에서 이산화탄소가 더 많이 나오기에, 모기는 이를 더 잘 알아챈다고 합니다.

    빨간집모기는 2.52m, 중국얼룩날개모기는 2.04m, 금빛숲모기는 1.96m, 작은빨간집모기는 1.76m까지 날아올랐습니다. (49쪽)

    피를 다 빠는 데 걸린 시간은 평균 1분 44초 87이었습니다. 최소 1분 00초 87, 최대 2분 52초 28이었습니다. (66쪽)

     따뜻한 곳을 좋아하지만, 뜨거운 곳에서는 못 산다고 하는 모기따뜻한 곳을 좋아하지만, 뜨거운 곳에서는 못 산다고 하는 모기

     피를 빠는 모기 주둥이피를 빠는 모기 주둥이

    모기를 찾으면 손바닥 대신 파리채로 칩니다. 손바닥으로 쳐서 잡을 수도 있으나 실패할 확률이 높고, 놓치면 손바닥이 아파 화만 더 납니다. 파리채는 구멍이 숭숭 뚫려 있어 모기가 바람 저항을 느끼지 못할 뿐 아니라 손보다 빠르게 칠 수 있어 효과가 높습니다. (94쪽)

    알을 낳으려는 암모기만 사람한테 달려듭니다. 암모기는 대단히 씩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칫 목숨을 잃을 수 있으나 알을 낳겠다는 굳센 믿음 하나로 사람한테 살살 날아와 달라붙어서, 2분 가까이 피를 빤다지요.

    사람으로서 2분은 성가신 한때일 테고, 암모기로서 2분은 삶이냐 죽음이냐가 엇갈린 아슬아슬한 때일 테지요.
     발에서 나는 냄새를 남달리 좋아한다는 모기발에서 나는 냄새를 남달리 좋아한다는 모기


    <모기가 궁금해>는 모기에 물린 자리를 긁지 말라고 이야기합니다. 모기에 물린 자리는 처음에는 부어오르기 마련이지만, 이곳을 긁지 않고 그대로 두면 얼마 안 지나 붓기가 가라앉으면서 가려움도 사라집니다. 비록 모기한테 피를 몇 방울 빼앗겼다고 하더라도 우리 몸은 씩씩하면서 새롭게 피를 길어올려요.

    모기는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큰 몫을 합니다. 우선 장구벌레는 물고기, 잠자리 애벌레, 물방개, 히드라, 플라나리아 같은 다양한 수서동물의 먹이이며, 어른벌레는 새나 곤충이 먹습니다. 또한 다양한 기생충과 미생물의 숙주이기도 합니다. 미약하지만 애벌레 시기에는 물속 유기물을 먹어서 수질 정화에도 도움을 줍니다. (98쪽)

    잉잉 앵앵 소리를 내면서 성가시게 사람한테 다가와서 피를 빠는 날벌레인 모기인 터라, 우리는 모기만큼은 이 지구에서 사라져 주기를 바랄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모기도 지구라는 별에서 숲을 이루는 작은 목숨붙이 가운데 하나예요. 모기 애벌레(장구벌레)는 물속에서 다른 여러 목숨한테 먹잇감이 된다고 해요. 어른벌레가 된 뒤에는 개구리라든지 작은 새나 큰 풀벌레가 모기를 먹잇감으로 삼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미처 알기 어려운 대목일 텐데, 장구벌레일 적에 물속 유기물을 먹으며 물을 살짝 깨끗하게 하는 몫도 맡는다고 합니다.
    물속 유기물을 먹으며 물을 살짝 깨끗하게 하는 몫도 맡는다고 합니다.
     모기가 낳은 알모기가 낳은 알

     모기가 피를 빠는 모습. 지은이 신이현 님이 이녁 팔에 모기를 앉혀서 스스로 실험해 보았다고 한다.모기가 피를 빠는 모습. 지은이 신이현 님이 이녁 팔에 모기를 앉혀서 스스로 실험해 보았다고 한다.


    서로 물고 물리는 먹이사슬인 셈일 텐데, 모기는 어느 풀벌레도 섣불리 하지 못하는 '사람한테서 피를 얻어 목숨을 잇고 알을 낳는' 놀라운 이웃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몹시 미움을 받고, 손바닥이든 파리채이든 신문뭉치이든 몸이 짜부라져 죽기 일쑤인 모기인데, 이 모기한테도 제 나름대로 삶이 있고 제몫이 있습니다.

    시골이나 숲에서 풀밭에 으레 모기가 있지요. 풀밭을 없애면 모기가 깃들 자리가 사라진다고들 하는데, 풀밭이란 모기를 잡아먹으려 하는 풀벌레도 살아요. 개구리도 살며, 참새나 딱새처럼 작은 새가 깃들기도 하는 자리이곤 합니다.

    가을벌레가 겨울에도 아직 겨울잠에 들지 않고 움직이면서 풀벌레 노랫소리를 들려주면 깜짝깜짝 놀라면서도 반기기 마련이에요. 이와 달리가 모기가 겨울에도 잠들 생각을 않고 잉잉 앵앵 소리를 내며 날아다니면 더 모질게 미움을 받으며 잡혀죽기 마련입니다. 언제 어디에서나 미움받이 노릇을 하는 모기인데, 비록 모기하고 살가이 지내기는 어렵다 하더라도 모기라고 하는 작은 벌레붙이 삶을 가만히 들여다보면서 이 지구를 이루는 얼거리를 돌아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출처:http://www.ohmynews.com/NWSWeb/View/atpg.aspx?CNTN_CD=A0002383952

    2019. 12. 18. 12:25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