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Punisher
Punisher
23.12.17

모든 행성들은 왜 구형으로 생긴걸까요?

굳이? 왜? 구형으로 생기게 된걸까요?

정말 완벽한 구형이잖아요

이게 너무 신기한데

구형으로 생성된 과학적인 이유가 있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
    23.12.17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인정받는 행성 생성 이론은 강착(降着) 이론이다. 강착 이론에 의하면, 행성들은 중심부의 원시별 주위를 도는 먼지 알갱이들이 뭉치면서 생겨났다. 이 알갱이들은 직접 서로 충돌하면서 지름이 1~10킬로미터에 이르는 천체, 곧 미행성으로 자라났다.(출처 : 위키백과 -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이렇게 행성이 생기면서 행성중심에는 중력이라는 것이 생깁니다. 이런 중력이 행성의 중앙으로 모이려는 힘으로 인해서 모든 방향에 동일하게 힘으로 당겨지기 떄문에 구형태를 이루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들이 구형으로 생기는 이유는 중력입니다. 중력은 물체들 사이에서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처음에는 행성이 형성될 때 무작위로 분포된 물질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력은 이 물질들을 서로 끌어당겨 하나로 모으려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물질들은 서로 충돌하고 합체하면서 계속해서 중력에 의해 압축됩니다.

    중력에 의해 물질들이 압축되면, 압력과 열이 생성됩니다. 이 압력과 열은 물질을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 균형 상태인 구형 형태로 이끌어냅니다. 구 형태는 물질을 모든 방향에서 동일하게 압축하고 분배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형태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12.17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수학적으로 구가 모든 표면 부터 중심까지의 거리가 같아서 모든 표면에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가 똑같은 모양이기 때문에

    3차원 공간에서는 중력이 있는 물질은 거의 다 구형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중력이 계속 가해지기 때문에 어느 한 부분만 톡 튀어나올수가 없습니다.

    튀어나온 부분은 각종 작용에 의해 풍화되어 낮은 부위에 쌓이게 되는데

    구가 되면 더 이상 중력이 모양을 변화시킬 수 없고 표면적이 가장 작은 상태라서 그 상태로 멈추게 됩니다.


    따라서 중력이 있는 모든 물질들은 구형이 되면 변화를 정지하게 되어 안정화 되어.

    따라서 대부분 행성들이 다 구형을 이루는 것 입니다.


    도움 되셨다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