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즐거운너구리296
즐거운너구리296
21.04.25

헌혈 하면 당뇨병 여부도 알 수 있나요?

헌혈을 하게 되면 기본적인 혈액 검사를 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간수치를 비롯해서 여러가지가 있는걸로 아는데요.

여기서 혈당을 체크해주는 부분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웬지 당뇨병이 있는게 아닌가 싶은 증상이 있거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정직한돌고래214
    정직한돌고래214
    21.04.26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용균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헌혈 시 검사항목

    ■ B형 간염(HBV)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우리나라 항원검사 양성율은 약 2-4 %입니다. 성인기에 B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만성보균자가 되는 경우는 약 10% 미만입니다.


    ■ C형 간염(HCV)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바이러스 보균자는 약 1 %입니다. C형 간염 바이러스로 인해 만성간염으로 진행되는 빈도는 약 80 %입니다.


    ■ ALT(알라닌 분해효소)

    간 기능을 확인하는 기초 검사 항목입니다. 간세포가 손상 받는 경우 수치가 증가하며, 과체중, 지방간, 과격한 운동, 장시간 보행이나 음주 등에 의해서도 증가할 수 있스니다. 혈정성분헌혈에서는 검사를 시행하지 않습니다.


    ■ 매독항체(STS)

    매독균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과거의 감염 경력이나 기타 바이러스 감염증과 같은 급성질환, 자가면역질환, 임신 등에서도 검사결과가 양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총단백질(Total Protein)

    단백질 합성 및 영양 상태나 간 기능, 신장, 장의 상태에 따라 수치가 변할 수 있습니다. 총단백질의 수치의 증가, 감소는 특별한 질환이 없어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혈액형아형

    적혈구의 항원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ABO 혈액형에서 A 혹은 B 항원이 양적으로 적게 표현되는 경우 혈액형아형이라고 합니다. 대부분 유전적 요인에 의하며 일상생활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 비예기항체

    적혈구 항원 중 예측가능한 A, B 항원에 대해 항체 이외에 예측이 어려운 항체의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자연발생적으로도 생기며 일상생활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혈장성분헌혈에서는 검사를 시행하지 않습니다.


    ■ 인체T림프영양성 바이러스(HLTV)

    인체T림프영양성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백혈구 중 T림프구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로 대부분 아무런 질병이 발생하지 않지만, 약 5 %에서 수십년 후 인체T림프영양성 바이러스 관련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장성분헌혈에서는 검사를 시행하지 않습니다.


    ■ 말라리아 항체(Anti-Malaria)

    모기를 매개로 전파되는 삼일열 말라리아 원충 감염 시 생길 수 있는 항체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양성이 반드시 현재 감염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한하여 검사를 시행하며, 혈구에 존재하는 원충이므로 혈정성분헌혈에서는 검사하지 않습니다.


    ■ AST(아스파라긴산 분해효소)

    간, 심장, 근육, 신장, 혈구 등에 있는 효소입니다. 만성 간염, 알코올성 간염, 지방간, 근육질환 등이 있는 경우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음주, 심한 운동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알부민(Albumin)

    혈압 유지, 영양소 및 호르몬 운반 등의 역할을 하며 전반적인 영양상태에 따라 수치가 변할 수 있습니다. 영양실조, 흡수장애, 간질환, 신장질환 등이 있는 경우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5 ~ 5 g/dl로 혈액에 존재합니다.


    ■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지질 검사 항목 중 하나로 고지혈증의 선별검사입니다.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당뇨, 갑상선기능저하증, 신장질환 등이 잇는 경우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요소질소(BUN)

    신장 기능 지표로 이용되는 검사입니다. 신장 질환이 있는 경우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심한 운동, 탈수, 고단백식이 등으로 인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최근 헌혈을 할때 진행한 혈액검사 항목에는
    B/C형 간염바이러스, 사람T세포림프친화바이러스,
    간수치, 매독, 총단백 및 알부민, 혈액형, 콜레스테롤,
    요소질소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궁금해하시는 혈당 및 당뇨병 관련 검사는
    헌혈시 시행하는 혈액검사에 포함되어있지 않습니다.

    당뇨병이 의심되는 증상으로 걱정이 되신다면
    가까운 병원 또는 보건소에서 관련 검사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헌혈시 검사하는 항목은, abo식 혈액형, 비형, 씨형 바이러스, 에이즈, 매독검사, 간기능검사(alt), 총단백, 말라리아항체검사 등이 있습니다.

    만 30세이상 헌혈자중에서 연도내 전혈 2회이상자, 성분헌혈 4회이상자의 경우 추가검사를 하는데, 추가검사항복은 간기능검사(ast), 알부민, bun, 총콜레스테롤 등이 있습니다.

    당뇨, 혈당은 헌혈시 검사하지 않는 항목이라, 따로 검사를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헌혈을 하게 되면 혈액형, 빈혈, 콜레스테롤, 간수치 등 여러가지 검사를 해주기는 합니다. 다만 혈당 검사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당뇨병이 의심된다면 가까운 의원에 가셔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