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훈훈한벌잡이8
훈훈한벌잡이8
22.09.13

어린이집에는 36개월 이후에 보내는게 가장 좋은가요?

어린이집에는 빨리보내면 아이들이 힘들어하나요?

36개월 지나서 보내야 좋다고 하는데 그건 왜 그런건가요 일찍보내면 안좋은 점은 어떤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36개월이 지나면 어느정도 대화가 되기에 그떄쯤을 시점으로 잡고 있습니다

    일찍 보내면 아직 적응하고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기에

    36개월 이후로 보내는것이 좋을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뇌발달이 폭발적으로 일어나는 시기를 보통 36개월 까지라고 합니다.

    그 시기에 엄마의 보살핌을 잘 받은 아이들은 그렇지 못한 아이들보다 뇌발달이나 정서적 안정 측면에서 더 좋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 이후에 어린이집을 보내라는 말이 있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엄마와 아기의 애착 형성을 위해 최소 36개월까지는 가능하다면 엄마와 함께 있는 것이 좋습니다.

    오히려 엄마와 함께 있으면 언어나 인지도 모두 높게 나왔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엄마와 신뢰가 잘 되어 있으면 사랑 많이 받고 자라 티가 나며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요즈음 같은 코로나 시국에 성인들도 밖에 외출할 때만 마스크를 껴도 답답한데 하루 종일 어린이집 안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어야 하는 아이들은 얼마나 힘들까요?

    아이가 어느 정도 의사 표현도 가능하고 배변 훈련도 끝났고, 스스로 옷을 입고 벗을 수 있을 때 보내셔도 전혀 늦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36개월이 지나야 아이가 말귀를 알아듣기 때문에 36개월 이후에 보내는게 좋다고 말을 하는 것입니다.

    일찍 보낼경우 어린이집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미연의 일을 정확하게 알 수 없고 부모와의 완전한 애착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부모님이 맞벌이를 하지않고 여건이 되면 천천히 보내는게 아이에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 아이들은 면역력이 약하므로 집단 생활을 일찍 시작하면 감기 등 몸이 아픈 경우가 잦기 때문에 어느 정도 면역력이 형성되면 보내는 게 낫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은 그보다 일찍보내거나 그보다 늦게 보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보통 36개월정도의 시기에 아이와 부모의 애착이 형성되는 과정으로 보기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힘든 이유도 있지만

    36개월정도가 지난 후에 보내야 엄마와의 애착이 이루어진 후에 보내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ㅏㄷ

    하지만 집의 사정마다 어쩔수없는 부분도 있으니 잘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일찍 어린이집에 보내면 부모와 떨어져서

    아이가 분리불안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정서적으로 안정되는 시기가 보통은 36개월 이기 때문에

    그 이전에는 가급적 집에서 보육하시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