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발해의 중앙과 지방 통치 체제가 궁금합니다.

발해의 중앙과 지방 통치 체제가 궁금합니다.

중앙 조직은 당나라를 모방하였으나, 독자적으로 운영하였다고 들었습니다.

감찰 기관도 존재했다는데 그 명칭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발해 중앙 관제

      1. 3성 (중국식 관제)

      (1) 정당성 (상서성) -[6부 : 좌사정, 우사정]

      (2) 선조성 (문하성)

      (3) 중대성 (중서성)

      2. 고려와 비슷

      (1) 중정대 (어사대) - 감찰하는 기능

      (2) 문적원 (비서성) - 서적 관리

      (3) 주자감 (국자감) - 중앙 최고 교육 기관


      발해의 지방 제도 : 5경 15부 62주

      (1) 5경 : 상, 중 , 남, 서, 동 (고구려의 5부제와 연결된다.)

      * 동경성 - 주작대로, 바둑판 같은 조방제 시행

      (2) 지방 행정

      1) 15부 : 도독

      * 교통로 - 용원부(일본도), 남해부(신라도), 압록부(조공도, 당), 장령부(영주도), 부여부(거란도)

      2) 주·현 : 자사(주) 파견, 현승(현)을 파견

      3) 촌 - 지방관(고구려인) / 자연부락 - 수령(토착)

      4) 촌락 - 수령이 다스림

      (3) 독주주 - 부에 속하지 않는 주 (완충지대) → 조정에서 직접통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