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학교가 문을 닫는 일들이 계속해서 발생한다고 하는데 이곳 학교들을 어떻게 운영을 해야 국가적인 손해가 없을까요 대지가 크기 때문에 용도가 많다 보는데요

학교가 문을 닫는 일들이 계속해서 발생한다고 하는데 이곳 학교들을 어떻게 운영을 해야 국가적인 손해가 없을까요 대지가 크기 때문에 용도가 많다 보는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대길 경제전문가
    이대길 경제전문가
    메리츠화재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국가에서 운영하는 체육관 공공 헬스 주차장 이러한 것들을 아주 저렴하게 시민들에게 개방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요 또한 아이들 돌봄 서비스도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학교가 문들 닫는 일이 일어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학교가 문을 닫는 곳들은 대체적으로 지방에서도 외진 지역들이 많기 때문에

    국가적인 큰 손해는 없을 것이고

    대지의 사용처도 많지 않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학교가 폐교가 되는 이유는 학생수 부족 때문인데요. 해당부지를 아이들을 위해서 사용할 수 없다면 국가에서 분양을 해서 세수를 확보 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폐교된 학교들에 대하여

    지역 주민들이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 등을

    설치하는 등 함으로써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여야

    국가적 손해가 적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골에서 출산율문제로 인구유입은 없고 유출만 가속화되고 있는가운데 폐교되는 학교에 대한 사용방침은 지자체마다 상이하지만 대체 문화활동이 가능한 커뮤니티센터나 예술공간 스포츠시설공간마련 농.어업체헌공간등 다양한 활용할수 있는 방안을 지역의 거주하는 분들과 질 의논하면 효율적운용이 가능하리라 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출산율이 지금처럼 낮은 상황이 계속 된다면 지속적으로 문을 닫는 학교가 늘어날수 밖에 없는 구조같습니다

    근본적인 원인인 출산율을 높여야 해결될 문제 같긴 하구요 학교의 재정적자가 크다면 학교 내부 시설을 이용한 수익사업을 좀 해보는것도 나쁠거 같지는 않습니다 주말 운동장 대여라든가 그런 방식으로 말이죠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학교 페쇄는 인구 감소, 학령 인구 감소 등 다양한 사회적 변화와 맞물려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학교 부지의 효율적인 활용은 국가적 차원에서도 중요한 과제입니다.

    비어있는 학교는 공원을 조성하는 데 좋은 공간입니다.

    이는 녹지 공간을 확보하여, 도시 환경을 개선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아니면, 도서관, 체육 시설, 문화 강좌 공간 등을 마련하여 지역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 벌써 많은 학교가 요양원 또는 주차장, 기타 병원,장례식장 시설로 많이 바뀌고 있습니다.

    결국 초고령화사회에 있어서 경제적 상황을 고려한다면 이런식으로 계속 사용될 것으로 보이며

    장차 이것뿐만아니라 주민분들 운동할 수있는 다양한 스포츠시설 등도 생길 것이라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학교가 사라지고 해당 부지에 실버타운이 생길 것이라는 추측이 많습니다

    • 우리나라 인구구조상 더이상 폭발적인 신생아 증가를 기대하긴 어렵기 때문에 젊은 사람들을

      위한 설비보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노인인구에 초점을 맞춘 정책이나 설비가 들어설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