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펜제와 열등재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기펜제는 열등재라고 하여 같은 것인 줄 알았는데 경제학에서 효과는 다르게 나타나더라구요
둘 차이가 정확히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펜 역설과 열등재는 경제학에서 관련된 개념이지만 정확히 같은 것은 아닙니다.
열등재는 소비자 소득이 증가하면 수요가 감소하는 재화입니다. 다시 말해, 사람들이 더 부유해짐에 따라 열등한 상품을 덜 사고 더 나은 대안으로 전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열등품의 예로는 값싼 패스트푸드, 저품질 의류, 대중교통 등이 있습니다.
반면에 기펜 패러독스는 재화의 가격이 오르고 소비자가 결국 그 재화를 적게 사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이 사게 되는 상황으로, 직관에 반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 효과는 상품이 필수품으로 간주되고 소비자 소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경우에만 발생합니다. 이 경우 재화의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소비자는 소득의 더 많은 부분을 재화에 지출해야 하므로 다른 재화에 지출할 돈이 줄어들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더 낮은 품질의 상품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는 실제로 더 높은 가격의 상품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두 개념 모두 상품에 대한 가격과 수요 간의 관계를 포함하지만 기펜 역설은 특정 조건에서만 발생하는 특정 사례인 반면 열등 상품은 소비자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는 모든 상품에 적용되는 더 넓은 개념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펜제 : 열등재의 부분집합. 가격하락이 오히려 소비량 하락을 가져오는 상품을 뜻함.
열등재 :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수요 감소하능 상품
즉, 기펜재는 열등재의 한가지 부분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