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조그만갈매기201
조그만갈매기20123.07.09

우리나라와 러시아 간에 외교적 관계가 궁금합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사태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러시아에 대한 제재들이 가해지고 있는 와중에 사실 우리나라 또한 피해를 많이 보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현대자동차 공장철수와 함께 항공우주 관련한 과학적인 기술교류 등등 사실상 러시아와의 교역은 이득이 더 앞서는거 같은데 이러다 러시아와 아예 멀어지는건 아닌지

걱정이 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말씀대로 한반도 주변 강대국들의 역학관계는 조선시대 이전부터 있어왔고 미숙한 외교와 국력이 약한 때에 외침에 끊임없이 고통을 받았습니다.

    과거의 역사적인 프레임이 현재에도 이어지고 있는데 그 양태만 다르지 우리가 처한 상황은 기본적으로 비슷하다고 하겠습니다.

    말씀대로 러시아는 어렵게 국교를 수립했고 어느 정도 교역을 이어가면서 정치, 외교 및 경제적으로 여러 협력 관계를 잘 맺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미중 무역전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한국은 러시아와 중국을 경외시 하며 미국에 줄을 설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는데 그럼에도 좀 더 실리적인 근거리 외교가 아쉬운 것은 어쩔 수 없는 듯합니다. 민간 경제에서 롯데그룹은 중국에 이어 러시아에서도 큰 손실을 입고 철수를 했습니다. 물론 H&A, Zara 등 주요 패션 회사들도 러시아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철수를 했거나 시작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중국, 러시아와 인접했고 북한 리스크는 이들 양국을 도외시하고 풀 수 없습니다. 좀 더 중장기적인 전략을 가지고 러시아 등과의 점진적인 관계 개선을 위한 포선을 깔 필요가 있을 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과 러시아는 1990년대 초부터 외교관계를 맺고 있으며, 서로 경제적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한국이 대러 경제제재 수위를 높이고 러시아가 한국을 이른바 '

    비우호 국가로 지정하면서 한러 관계가 냉각됐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대러시아 수출입이 제한적이지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빨리 전쟁종결과 무역활성화되길 희망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직은 직접적인 지원은 하지 않기에 큰 문제는 없을 듯 합니다. 전쟁이 끝나면 우리나라나 러시아나 서로를 필요로 하기에 큰 문제없이 다시 교류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가 러시아와 과거부터

    외교적인 관계는 깊지만 교역 등에 있어서도

    미국이나 다른 국가에 비하여 많다고만은 할 수 없습니다.

    물론 15손가락 안에 드는 큰 시장이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