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23.01.18

우리나라의 최근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다고 하는데..

전 세계적으로 저출산이 심각한 곳이 우리나라라고 하는데..

국가적으로 봤을때 어느 정도 수준인지 궁금하구요

저출산이 경제 관점에서 볼때 향후 어떤 문제들이 야기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중진 경제전문가blue-check
    전중진 경제전문가
    한울발달상담센터
    23.01.18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선진국에 속하나

    다른 선진국들은 1명대를 유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부부가 결혼하여 출산하는

    아이가 1명도 안되는 등 전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축에

    속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저출산으로는 OECD 1위를 달리고 있고 수치가 압도적인 1등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약 5년전만 해도 일본과 비슷한 0.96명 정도 였지만 최근에는 0.9명도 위협을 하여

      대한민국 인구가 감소 추세로 전환되었습니다.

    •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경우 경제 활동을 하는 인구가 부양해야할 노인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어 대한민국 경제에 부담이 가중되게 됩니다.

    • 앞으로 출산율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국민연금이나 건강보험 등도 보장 받을 수 없는 시기가 점점

      빠르게 다가오게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여성당 출산율은 1인당 0.8명으로 전세계 oecd 국가중 꼴지입니다. 이는 경제활동인구의 감소로 향후 내수시장과 노동력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경제규모와 경제성장률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1.18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 중 하나이며, 이는 정책 입안자와 경제학자들에게 우려의 원인이 되어 왔습니다. 한국의 출산율은 여성 1인당 약 1.1명으로 안정적인 인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대체 수준인 여성 1인당 2.1명보다 훨씬 낮습니다.

    한국의 저출산은 미래에 심각한 경제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는 인구의 고령화입니다. 노인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노동인구가 줄어들어 생산성과 경제성장률이 저하됩니다. 이것은 또한 노인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 일하는 사람이 줄어들기 때문에 국가의 사회 보장 및 연금 시스템에 부담을 줄 것입니다.

    또 다른 문제는 소비자 수의 감소로, 이는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 감소로 이어져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저출산은 아동·청소년의 감소로 이어져 국가의 교육제도, 문화유산, 미래 노동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정부는 육아 및 육아휴직 급여를 늘리고 출산에 대한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한 단일한 해결책은 없으며, 한국의 출산율 향상을 위해서는 경제적, 정책적 문제뿐만 아니라 문화적, 사회적 요인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