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2.10.06

투명망도가 있다고 합니다. 어떻게 그렇게 되는지..

영화에서 보는 투명망도가 실제 존재한다고 합니다. 아직은 실험실적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어떤 원리로 되는지 궁금합니다.

이것이 실용화가 가능한지? 만약 일반적으로 실용화가 가능하다면 군사적으로 쓰임새가 많고 , 많은 문제도 야기할 듯한데.

암튼 기술이 대단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07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각종 영화에서도 나오지만 특히 해리포터에서의 투명망토는 참 쓰임새도 많겠지만 상당한 사회혼란을 야기할 수 있겠습니다.

    실요화가 되기위해서는 상당기간과 연구가 필요한것이 사실입니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물체를 본다는 것에 출발해보면 빛이 물체에서 반사되어 눈에 들어오는 것이지요.

    이때 메타물질(자연에서 발견되는 물질은 굴절률이 항상 양의 값인데, 음의 값이 되는 굴절율이 바로 메타물질의 개념)을 통해

    빛을 휘어지게 만들어 마치 그 물질이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맹점은 메타물질 안에 있는 사람도 빛이 닿지 않기 떄문에

    밖을 볼 수는 없겠죠 ㅎㅎ 그래서 밖에서는 투명하게 보이는데 안에서 밖을 볼 수 있는 메타물질도 연구중이라고 합니다.

    완성되지는 않았고 언젠가는 실현될 수 있는 기술입니다.

    2015년 미국 버클리대에서 메타물질인 카페트를 활용해 카펫이 덮은 물제가 보이지 않게 하는 실험에 성공은 했습니다.

    다만 실험에서 사용된 메타물질은 나노미터 크기로 눈에 보이지도 않을 정도의 면적입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메타물질을 이용한 것입니다. 메타물질은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을 혼합하여 굴절률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끔 만든 물질입니다. 보통 물체의 굴절률은 양의 굴절률을 가지며 휘어져 투과하지만, 메타물질의 경우 음의 굴절률을 가지며 빛이 물체 주변을 둘러가기 때문에 마치 없는 거처럼 느껴져 투명성을 띠는 원리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영화 해리포터처럼 완전히 사라진것처럼 보이게 하는것은 아직은 불가능하지만, 이론적으로 가능합니다.

    결국 투명하다는 것은, 실제로 물체가 사라진 것이 아니라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아래는 2019년 즈음의 과학기술로 만들어진 투명 망토 입니다.

    https://www.hani.co.kr/arti/science/future/913493.html

    우리가 눈에 무언가를 보는 것은 물체에서 빛이 나오기 때문인데,

    이 빛의 경로를 바꿔줄 수 있다면 (망토를 피해서)

    투명한 망토가 되는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