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운좋은기린117
운좋은기린11723.11.07

혈압과 신장기능의 상관관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나이
44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불면증약
기저질환
없음

고혈압의 경우 높아진 압력에 의해 사구체에 무리를 주어 신기능을 떨어트리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반대로 신장에 문제가 생기거나 신기능이 떨어쳤을 때 혈압을 높일 수 있나요?

제가 약물로 인해 이완기 혈압만 상승했습니다. 이것이 심혈관계에 영향을 주어 혈압이 오른것인지 신기능을 떨어트려 체액의 증가로 혈압이 오른것인지 알고싶습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3회 6일치를 복용한 후 단약 6일이 지났음에도 이완기 혈압이 평소보다 15정도가 일정하게 상승한채 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전문가님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장 기능 저하가 혈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신장은 체액량을 조절하고 혈압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역할을 합니다.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이러한 조절 기능에 문제가 생겨 체액이 증가하고 나트륨이 체내에 머무르게 되어 혈압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약물로 인해 혈압이 상승하는 경우도 있는데, 특히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는 신장의 혈류량을 감소시키고 나트륨과 물을 체내에 보유하게 함으로써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지만, NSAIDs를 복용한 후 혈압이 상승한 상태가 지속된다면, 이는 신장 기능에 영향을 미친 결과일 수도 있습니다. 내과에 방문하셔서 크레아티닌과 BUN 혈액검사를 간단히 받아보셔서 다른이상이 없는지 점검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aha 의료 전문가입니다.

    신기능이 떨어졌을 때에도 혈압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6일로는 일시적인 증상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추적관찰해보시고 지속적으로 높게 나온다면 내과 진료를 보시는 것을 권유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