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신라에서 있던 호국불교사상은 한국에만 있던 독특한 불교문화인가요?

호국불교라는 말은 살생을 한다는 의미이므로 불교에선 꺼려할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이런 호국불교라는사상이 한국에만 쭉 내려오는 사상인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교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신라시대 이후로 호국불교의 전통이 면면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불교의 호국 전통은 어느 특정인을 위한 것이 아니라 백성들의 안위를 위해 이어져 왔고 우리나라 호국불교의 효시는 원효대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원효대사는 호국불교를 내세우며 여수에 향일암을 짓고, 남해에 보리암을 건립하여 왜적의 침략에서 우리 백성들을 구하고자 했습니다. 또한 왕이나 정권을 잡은 자들이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살면서 청치를 한다면 일반 백성들이 도탄에 빠지지 않는다는 것이었고 이 왕등의 권력자에게 부처님의 설법을 하는 내용의 가르침이 주를 이루면서 호국불교의 탄생이 시작 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호국불교사상은 불교의 교법으로 난리와 외세를 진압하고 나라를 지킨다는 불교 사상으로 다른 불교국가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은 중국, 태국 군불교 및 한국 특유의 불교 사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호국 불교 사상은 삼국 시대 시작된 우리 민족만이 가지고 있는 사상 입니다. 불교의 교법으로 난리와 외세를 진압하고 나라를 지킨다는 불교 사상으로 다른 불교 국가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은 한국 특유의 불교 사상인데 4세기경 삼국 시대에 불교가 최초로 중국을 통해 전래되었을 때,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에서 불교는 모두 선인선과의 인과를 가르치는 새로운 종교로서뿐만 아니라 새로운 주술로도 여겨져 토속 신앙인 무속 신앙과 융합되어 무속 신앙적인 성격을 가졌으며 또한 고대 국가 건설의 정신적인 기둥의 역할을 하는 호국 사상의 성격을 띄게 되었다고 합니다. 한국 불교에서 호국 불교 사상이 본격적으로 형성된 것은 신라에 불교가 토착화되면서 부터 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