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행의 지급준비율이 0%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미국은행음 우리나라와 달리 지급준비율이 0%라고 하는데, 여러 금융 위기 등은 미국에서 발생하는데도 불구하고 미국 은행의 지급준비율이 0%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지급준비율이 현재 0인것은 아무래도 연준의 빠른 금리인상과 함께 지급준비율까지 인상하게 된다면 급속도로 유동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서 지급준비율을 0으로 유지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은행 지급준비율이 0%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의 은행들은 예금을 받으면 일정한 비율의 예금을 준비금으로 예치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지급준비율입니다. 그러나, 미국의 경우 연방준비은행(Fed)에서 이 지급준비율을 규제하고 있습니다. 현재 Fed는 초과지급준비금이라고 하는 추가적인 준비금을 은행에 예치하도록 규제하고 있으며, 이는 법정지급준비금 이상의 금액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현재 미국 은행들의 지급준비율은 0%입니다.
그러나, Fed는 은행들의 초과지급준비금에 일정한 수준의 금리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Fed는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은행의 예금을 인출하거나 기타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 은행의 지급준비율이 0%인 것은, Fed가 지급준비금 규제를 통해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는 결과물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연준은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대응의 일환으로 2020년 3월 대부분의 예금 유형에 대한 지급준비율을 폐지했습니다. 그 전에는 미국의 지급준비율이 특정 예금 유형에 대해 일반적으로 10%로 설정되었습니다.
지급준비율을 낮추거나 없애는 결정은 통화 공급과 경제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중앙은행이 사용하는 정책 도구입니다. 미국의 경우 연준은 지급준비율이 더 이상 통화 공급을 관리하는 효과적인 도구가 아니며 금리 및 양적 완화와 같은 다른 도구가 현재 경제 환경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미국의 은행 시스템은 한국과 구조가 다르고 소규모 은행이 많은 분산형 은행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이는 소규모 은행의 규제 부담을 줄이고 대형 은행과 보다 효과적으로 경쟁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지급준비율을 없애기로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미국의 지급준비율 폐지 결정은 경제 환경과 은행 시스템의 구조를 포함한 여러 요인에 근거한 것입니다. 금융 위기가 결정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지만, 그것이 유일한 결정 요인은 아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같은 경우에는 기축통화국으로써
달러를 발권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지급준비율이 0%가 가능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