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김유신은 왜 불교적 이상과 무장 본능을 동시에 가진 인물료 묘사되었나요?

전쟁의 달인이면서도 불심 깊고, 이상주의자면서도 냉혹한 현실가 였던 그는 실존인물인데요 그의 행적이 약간 부풀려진거 아닌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유신은 신라 삼국 통일의 대표적인 무장이자, 깊은 불심과 이상주의적 면모를 동시에 가진 인물로 묘사됩니다. 김유신은 신라의 귀족 집단인 화랑도의 화랑으로 미륵 신앙 등 불교적 요소가 강한 결사체의 수장이기도 합니다. 불교적 이상을 담은 미륵을 모델로 하여 그의 화랑도를 '용화향도'라 하였습니다. 또한 신라 사회는 불교를 국교로 삼아 왕권의 신성화와 국가 통합의 이데올로기로 삼았으며, 화랑도 역시 불교적 윤리와 세속적 무장정신(세속오계: 임전무퇴, 살생유택 등)을 동시에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김유신은 신라의 삼국통일 과정에서 탁월한 역량을 발휘한 인물입니다. 따라서 그의 전략가로서 역량을 신이화 하여 과장된 이야기로 전래된 면도 있습니다. 따라서 그의 그의 실존 행적은 실제로도 뛰어난 무장과 현실주의자의 면모를 지녔으나, 후대에 이르러 신화적·종교적 색채가 더해지면서 영웅상과 이상주의가 강조되고, 일부 행적은 과장되어 전해진 측면이 분명히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