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amorfati
amorfati23.06.22

칼 융의 분석심리학에 관하여 그리고 프로이트와 융의 차이점

칼 융의 분석심리학에 관하여 자세한 설명을 원하고 그리고 프로이트 심리학과 융 심리학의 핵심적인 차이점에 관하여 자세히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칼 융은 인생의 목표가 '자아'를 찾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어릴 때는 사회에 적응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페르소나(가면)를 쓰고 때로는 남성성(아니마)과 여성성(아니무스)을 보여줘야 합니다.

    칼 융은 어렸을 때 이 모든 것이 필연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중년이 되어야 비로소 자아실현(개성화)의 기회를 갖게 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한 번도 본 적 없는 무의식을 들여다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칼 융은 페르소나(가면) 뒤에 있는 자신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또한 심리적, 정신적으로 우리 자신의 양면성(남성적: 아니마/여성적: 아니무스)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남성은 자신 안에 있는 아니마를 인식하고 이해해야 하며,

    여성은 자신 안에 있는 아니무스를 인식하고 이해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남성성과 여성성의 속박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두 사람의 가장 큰 차이점은 종교에 대한 태도였을 것입니다.

    프로이트는 종교를 유아적이고 집단적인 신경증으로 본 반면, 융은 종교를 심리 치료를 위한 훌륭한 상징 체계로 보았습니다.

    프로이트는 신을 사람들이 유아기 때 아버지에 대해 가졌던 이미지의 투영인 환상으로 보았지만 융은 신의 이미지를 인간 정신의 온전한 원형으로 보았습니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의 작용에 초점을 맞춘 반면 융은 의식과 무의식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동일한 정신 현상을 다르게 보았습니다.

    프로이트의 렌즈는 하나였고 융의 렌즈는 두 개였습니다. 따라서 어느 쪽이 더 옳고 그른 것이 아니라 입장의 차이일 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프로이트의 정신 모델에는 원초아, 자아, 초자아가 있는데, 융은 자아, 개인 무의식, 집단 무의식을 포함하도록 이 모델을 확장했습니다. 게다가 프로이트는 성적 에너지인 리비도를 동기를 부여하는 주된 힘이라고 주장했지만, 융은 이 개념을 성적 에너지뿐만 아니라 창조력 득 정신 에너지까지 포함하도록 확장했습니다. 또한, 프로이트는 무의식적인 성적 본능을 강조했다면 융은 더 넓은 범위의 심리적 요소를 강조했습니다. 꿈의 해석도 달랐습니다. 프로이트는 꿈을 억압된 욕망과 무의식적 갈등의 표현으로 보았지만, 융은 꿈을 무의식, 자기 발견 등 개인의 여정에 대한 통찰로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