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그 예가 궁금합니다
금리인상이 인플레이션 억제와 이어지는건 알고있는데 그 이유와 원리가 확 쉽게 와닿지는 않습니다 단순한 예를 들어서 풀어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용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는 돈의 가치와도 같습니다. 당장 최근인 금리가 낮던 코로나 시기 제로금리 때, 자산 버블이 일어났던 이유는 금리가 낮은 상태에서 양적완화로 시장에 유동성이 크게 풀렸기 때문이죠.
반대로, 금리 인상을 하게 되면 시장의 유동성이 감소합니다. 대출의 수요가 감소하고, 기존의 대출을 받았던 사람들 및 기업들은 이자 부담이 올라가기 때문에, 기존의 소비나 투자를 줄이게 됩니다. 이는 곧 시장의 유동성 감소로 이어지게 되고, 그만큼 시장에서 돈을 구하기 힘들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돈의 가치가 오르게 되는 것이죠. (금리 상승)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리인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금리 인상을 하게 되면 사람들은 돈을 은행에 맡기는 것을 선호하고 동시에
대출하는 것은 높은 이자로 인해서 줄어들게 됩니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면 자연스럽게 시중에 풀린 돈이 점점 줄어들게 되며
돈의 가치가 오르게 됩니다.
그래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이 되면 은행에 맡기면 이자 수익이 커지기 때문에 소비가 억제되고 또한 중앙은행으로 부터 시중 은행이 돈을 빌리는 것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대출수요도 줄어듭니다.
이는 시중에 자금 유동성이 축소되는 것으로 금리 인상은 금융시장에 자금 흐름을 둔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는 쉽게 말하면 시중의 돈의 비용입니다. 그리고 인플레이션 현상은 정확히 말하면 물가가 상승한다는 말은 맞는데 그 이전에 통화가 팽창해서 부풀려진다는 의미입니다 즉 통화가 대규모로 풀린다는 말이며 이로 인해서 통화의 가치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서 상대적으로 물가가 증가한다는 의미가 인플레이션 현상입니다
그런데 금리를 올리게 되면 신용승수가 감소하게 됩니다 즉 돈의 차입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시중의 유동성은 본원통화가 풀리고 금융기관이 이를 대출이나 차입을 통해서 신용승수 효과이상만큼 통화가 추가적으로 부풀려져 유동성이 증가하는것입니다
그런데 금리가 올리게 되면 돈을 빌리는 비용이 증가하므로 신용승수 효과가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통화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즉 시중의 유동성이 감소하여 통화가의 가치가 올라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것입니다 즉 통화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올라가면서 물가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므로 인플레이션 억제 현상이 금리인상인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은 소비와 투자, 수출 등 경제 전반의 총수요를 감소시켜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대출 금리가 오르멐 가계와 기업의 금융비용 부담이 커져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고, 자산가격 하락과 환율 변동으로 경제 활동이 둔화됩니다. 예를 들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단기와 장기 금리가 모두 상승해 기업 투자 감소, 가계 소비 축소, 부동산과 주식 시장 침체가 나타나며, 수출 경쟁력 저하가 환율 변동과 함께 경제 성장률 하락으로 이어집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오르면 대출 이자가 비싸져서 가계와 기업이 소비, 투자를 줄입니다. 예를 들어 집을 사려고 3억원 대출을 받았는데 금리가 3%에서 6%로 오르면 연이자가 9백만원에서 1,800만원으로 두배가 됩니다. 이렇게 부담이 커지면 소비를 줄이고 기업도 설비투자를 미루게 되어 전체적으로 돈의 유통 속도가 느려지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수요가 줄어 물가 상승 압력이 완화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