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에서 신경치료 후 크라운 씨운 이빨이 문제가 생기면 보상 가능한가요?
약 1년 전에 이빨을 신경 치료 후 크라운을 작업했습니다. 신경 치료를 진행하니라 기존 이빨을 많이 갈아 버렸는데.. 제 추정으로는 그 이빨을 갈면서 밑에 뿌리가 되는 이빨이 금이 간게 아닌가 싶습니다. 1년이 지났는데도 수시로 통증이 느껴지고, 해당 이빨의 잇몸도 자주 붓습니다. 우측 상단 어금니 인데 해당 어금니로 살짝만 딱딱한 음식을 먹을 경우에 특히 심합니다. 전에 해당 치과를 갔을 때는 이빨에 금이 갔다면 빼서 임플란트를 해야하고, 어이 없는게 그 금은 자기들이 치료하다 나온게 아니고 본래부터 있었을 것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의사하고 티격 태격 싸우기도 싫은데 의사는 치료 전 찍은 사진들을 확대해서 보여주면서 이빨에 금이 보이지 않냐고 말합니다. 제 입장에서는 이 증상은 치과에서 신경치료와 크라운 하기 전에는 전혀 없던 증상이구요.
정말 억울한게 이 어금니는 본래는 충치를 금으로 레진처럼 붙여둔 거였는데.. 의사가 다른 진료한다고 건드리면서 떨어져서, 이렇게 된거 그냥 치료한다고 하니 , 제 의견은 듣지도 않고 바로 신경 치료로하고 크라운으로 들어갔습니다. 저는 당시에 치료한다고 하면 그냥 다시 금을 때워서 넣어줄 줄 알았거든요. 의사는 추가 충지가 있기 때문에 갈아서 신경치료 했어야 한다고 하는데.. 그냥 과잉 진료에다가 의료 과실 같다는 생각이 떠나지 않습니다.
이 병원은 더 이상 믿지 못하겠고, 다른 병원에서 치료하고 임플란트를 하던지 다시 신경치료를 하던지 해서 나오는 비용을 청구할 수 있을까요? 해야 한다면 절차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절차가 따로 잇는건 아니고 치료를 하고나서도 불편감이 사라지지 않으면 환불을 이야기해볼수 잇을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원래 그런건지 치과에서 신경치료 후 크라운을 하고 나서 문제가 된건지에 따라서 보상부분은 달라질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쟁점은 크랙이 원래 있었는지, 신경치료 전 동의서를 받았는지일 것 같습니다
사실 의료진과의 분쟁에서 동의서 유무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요 디테일한 부분은 의료분쟁조정중재원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원만히 해결되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충치치료를 하다 치아의 삭제량이 많아지거나 이전 충전물이 탈락하는 경우에는 신경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신경치료를 할때 신경관 내부에 조직이 남아있거나 하면 통증이 생길수 있는데 신경치료후에도 통증이 있다면 재신경치료가 필요할수도 있습니다.
치과치료를 하는 과정에서는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의료진의 과실이 있는 지는 확실치 않습니아.
의료과실 여부를 따지기 보다 치료를 잘 받으셔서 불편감이 없도록 하는것이 중요할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