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오늘하루만
오늘하루만23.03.04

할머니 재가로 훗날 할머니가 고인이 되셨을때 제사문제입니다

저희 집안 얘기라 부끄러운 부분이 있네요.

재가는 시대적으로 자식들과 함께 살기위해

할머니께서 하신 어쩔수없는 선택이였습니다.

할머니께서는 6.25때 재가를 하셨습니다.

할아버지 두분은 이미 고인이 되셨구요.

ㆍ일제시대때 혼인하신분은

(징용가서 돌아가셨습니다.)

(자식은 큰고모,큰아버지 작고,아버지)

(제사는 큰아버지댁에서 사촌형이 모십니다.)

ㆍ6.25때 혼인하신분은

(2000년 돌아가셨습니다.)

(자식은 작은아버지 작고,작은 고모)

(제사는 작은아버지댁에서 작은어머니가 모십니다.사촌 여동생2명이 있습니다. 둘다 혼인했습니다.)

할머니는 재가 하시면서 6.25때 혼인하신분 성으로 입적하셨습니다.

할머니는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시면서 저희 아버지ㆍ어머니께서 13년을 모시다 어머니 건강문제로 작은고모댁에서 지내고 계세요.

그때는 아버지 형제분들이 다 살아계시고 있을때라 누가 모셔도 문제가 없는데 서로 못 모시겠다 힘들어도 그냥 모셔라. 그랬습니다.

어쩔수없이 작은고모댁으로 가셨구요.

그이후로 그간 저희 아버지ㆍ어머니 공은 없어진것이구요.

할머니는 현재 정정하세요

문제는 할머니께서 돌아가시면 그때부터 시작입니다.

재산문제가 아닌 제사문제입니다.

큰집에서 모시는것 또한 안된다하고,

작은집 또한 작은아버지 생전에는 제사를 지내셨는데 현재는 작은어머니가 할아버지 제사를 지내는지 안지내는지 모르겠다 하시네요.

사회통념상 작은아버지댁에서 모시것이 맞는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저희 아버지께서는 본의아니게 집안에 장손이 되셨고, 책입감보다는 자식된 도리로 할머니께서 돌아가시면 제사를 지내려 하십니다.

저희와 같은 집안이 있을텐데 어떻게 하시는지 조언을 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원숭이654321입니다.

    가족 구성이나 상황에 따라서 제사를 지내는 곳이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회통념상으로는 작은아버지댁에서 제사를 지내는 것이 맞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이 역시도 가족 구성과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가족 간의 의견 충돌을 최소화하고, 상호 존중하는 것입니다. 제사를 지내는 곳이 어디든, 가족 모두가 함께 모여서 제사를 지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따라서, 가족들끼리 이 문제에 대해 솔직하게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며 해결책을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족 구성원들이 모두 합의된 결정을 내려야 하며, 그 결정에 따라 제사를 지내는 곳을 정하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제사를 지내는 것은 가족 간의 소통과 상호 존중이 필요한 문제입니다. 가족 구성원들끼리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며, 상호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대담한검은꼬리83입니다.

    과거 조선왕실에서 제사 문제로

    관직을 삭탈 당하고 귀향도 보내고

    제사상 차리는 법도 또한 예법이 중시되었습니다.


    우리나란 그런 예법에 민감한거 같습니다..


    현대에 그런 유교적 전통에 끌려다녀서야

    되겠습니까?....


    우리집에서 제사.지내고 싶담 지내는거져


    보통은 귀칞아서 서로 미룰려고 하기에

    특히 재가 하신 분이라면 더더욱 그런 상항이라면

    걍 우리집에서 모시겠다..하면 끝이져....


    안모셔도 그만이지만

    모셔야겠다고 생각이 되면

    과거 조선시대 끔찍한 예법에 끌려다니지 말고

    모시면 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