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통화 스왑을 하는것과 국내 연기금과 통화스왑을 하는 것이 어떤 차이가 있나요?
환율 상승을 막기위해 연기금을 이용하는 것이 어떤 목적이고 그로인해 발생하는 결과의 긍정, 부정적인 측면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기금과 같은 경우에는 해외 투자를 할 때에 환노출 상태로
투자를 하기 때문에 환전을 하여 투자를 진행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기금이 외환시장에서 환전을 할 때에 워낙 금액이 큰만큼
환율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은에서 외화를 스와프하여 투자를 하면 외환시장에 환전을 하지 않아
외환시장에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만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하여 자유시장경제에 대하여 외화의 가치가 제대로 측정되지 못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통화스와프는 각 나라의 통화를 서로 교환하는것을 말합니다.베스트는 미국과의 통화스와프인데 쉽게 해줄리가 없죠.하여 대책으로 국민연금과 통화스와프를 한것이고 100억달러 규모라고 알려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통화스왑을 하는 것은 우리나라 정부가 외환보유고가 부족할시에 달러를 미국으로부터 빌려올 수 있는 일종의 마이너스통장(달러)개념으로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이러한 미국과의 통화스왑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고의 양이 100억이면 통화스와프가 20억을 체결하게 된다면 외환보유고양이 120억인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국내연기금과의 통화스와프는 반대로 국내기관인 연기금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달러를 빌려갈 수 있는 상황을 열어주면서 달러의 유통을 촉진시켜서 환율을 낮추려는 행위입니다. 즉, 국내 외환보유고는 변동이 없으며 국내연기금이 필요할 때마다 빌려줬다가 향후 연기금이 다시 사서 갚도록 하는 식으로 국내 달러의 유통양을 늘리는 행위를 하겠다는 것입니다.
미국의 경우는 외환보유고의 안정을 연기금과의 스와프는 달러환율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조치라고 생각하시면 편하실 것 같습니다.
좋은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