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24.01.02

북극의 얼음이 다 녹으면 한파가 없어질까요?

보통 한파가 우리나라보다 윗 지방에서 한기가 내려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북극인데 북극의 얼음이 다 녹는다면 한파가 없어지거나 한결 줄어들게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한파가 우리나라보다 윗 지방에서 더 심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북극 지역의 고도가 높아서 공기가 더 차가워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북극 지역은 대륙이 아니라 바다 위에 위치해 있어서 바다에서 올라오는 습기가 적어서 공기가 더 건조해지는 것도 한파가 심해지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북극의 얼음이 다 녹는다고 해서 한파가 없어지거나 줄어들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북극의 얼음이 다 녹더라도 여전히 고도가 높고 바다 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한파가 계속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북극의 얼음이 녹는 속도가 더 빨라지면 오히려 한파가 더 심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북극의 얼음이 다 녹는다면 지구의 기후가 크게 변화하게 될 것이며 이는 한파 뿐만 아니라 다른 기상 현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의 얼음이 다 녹는다고 해도 한파가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북극 지역의 한파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얼음의 녹음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습니다.

    한파는 대기의 온도와 기압 분포, 풍속, 강수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북극 지역은 얼음 덮인 해양과 빙하로 인해 고립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대기의 온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또한, 북극 지역의 알베도 효과로 인해 태양 복사량이 반사되어 대기 중 열이 증발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함께 작용하여 북극 지역에서의 한파를 유발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북극의 얼음이 녹으면 기후에 많은 변화가 생길 수 있는데, 북극의 얼음은 태양 에너지의 80%를 반사하여 우주로 돌려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얼음이 녹아 바다만 노출되면, 들어오는 에너지의 90%가 북극이 흡수하게 되어 지구 온도가 크게 상승하게 됩니다.

    또한 북극의 얼음이 녹으면 해양대순환에 변화가 생겨 지구 기후에 큰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바다는 극지와 적도 사이를 오가며 태평양과 대서양 사이를 오고 갑니다. 이러한 해양대순환으로 멕시코만류가 열을 가지고 북대서양에서 북극을 향해 올라오면서 유럽 기온을 온화한 수준으로 유지합니다. 그러나 지구온난화로 북극 얼음이 녹아 극지 바닷물의 염분 농도가 묽어지면, 지구의 열을 골고루 분산하는 해양 컨베이어벨트가 느려지거나 중단될 수 있습니다.

    만일 그렇게 되면 적도에는 열이 계속 쌓여 심각한 폭염이 계속되고 유럽에는 오히려 극심한 한파가 발생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