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수익비율이나 다른 여러가지 수익 비율이 있던데 나눠 놓은 이유가 있나요?
제가 예전 주식을 공부를 할때 주가 수익비율과 다른 수익 등등
여러가지 수익에 대한것들이 있던데요. 이렇게 많은 수익들을 나눠 놓은 이유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적자인기업도 있고 성장성이 높은 기업이 있습니다 이런 기업일경우 이익비율인 주가수익비율비교가 어렵습니다 즉 경기가 침체여서 적자가 나오고 이때 주가바닥을 보기위해서 주가순자산비율을 보는것입니다
주가수익비율은 기업이 이익성장중일때 확인하는 지표입니다 이외 벤처나 스타트업기업일경우 당장은 이익이 나오지않기 때문에 이때 매출성장성을 보고 이때 주가매출액비율 지표를 살펴보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수익비율(PER) 등 다양한 수익 비율을 나눠 놓은 이유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수익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서입니다. PER은 주가 대비 순이익을 보여주지만, PBR(주가순자산비율)은 기업의 자산 가치를, ROE(자기자본이익률)는 투자 수익성을 나타냅니다. 이처럼 각 지표마다 평가하는 기준이 다르므로, 투자자들은 여러 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기업 가치를 판단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가수익비율이나 다른 여러가지 수익 비율을 나눠 놓은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주식 및 기업을 여러 각도로 분석할 수 있게
여러가지 수익 비율을 만들어서
보여주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익비율 부분이 여러가지로 나눠 놓은 이유는 하나의 지표만으로는 해당 기업을 분석하기 쉽지 않고, 투자자들에게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투자에 도움을 주기 위함입니다.